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체된 연말 산업생산…공장도 멈췄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12월 전체 산업생산이 전월과 동일한 수준에 머물렀다. 지난해 제조업 가동률은 외환위기 이후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2016년 12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전체 산업생산은 전월대비 0% 증가했다. 앞서 산업생산은 9~10월 마이너스를 기록하다 11월 1.8%로 뛰어올랐으나, 12월 다시 0%로 떨어지며 정체되는 모양새다.

광공업 생산 감소가 주된 원인이다. 광공업 생산은 석유정제(6.0%), 반도체(2.3%) 등에서 증가했으나 전자부품(-5.5%), 기타운송장비(-6.2%) 등이 줄면서 전월 대비 0.5% 감소했다. 통계청은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부문이 지난해 11월 최고치를 기록하고 이후 감소하면서 전자부품 쪽이 감소했다"며 "조선업 부진으로 인해 기타운송장비도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전월 대비 0.8%포인트 하락한 73.0%를 기록했으며, 제조업 재고는 전월대비 0.4% 감소했다.

반면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대비 0.3% 증가하며 2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주식거래량 감소로 인해 금융ㆍ보험 등이 0.8% 줄었으나 모바일 게임과 대규모 정보시스템 수주 등이 이어지면서 출판ㆍ영상ㆍ방송통신ㆍ정보 등이 5.6% 늘어났다.


소비를 의미하는 소매판매는 1.2% 감소하며 2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평년보다 따뜻한 날씨의 영향으로 의복 등 준내구재가 4.2% 감소했고, 유가상승 때문에 차량연료 등 비내구재도 판매가 1.2% 줄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기계류 투자(5.1%)가 늘면서 전월 대비 3.4% 증가, 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특히 국내기계수주는 공공과 민간에서 모두 늘면서 전년 동월 대비 26% 증가했다.


이미 이뤄진 공사실적을 의미하는 건설기성은 건축(-0.5%)과 토목(-5.1%) 공사 실적이 모두 줄면서 전월 대비 1.8% 감소했다. 통계청은 기저효과로 인해 건설기성이 감소했지만, 수주액 자체는 12조원으로 사상 최대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현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0.2포인트, 미래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1포인트 상승했다.


한편 지난해 전체 산업생산은 서비스ㆍ건설업 등에서 늘면서 전년대비 3.1% 증가했다. 2011년 이후 5년만에 최대폭으로 증가한 것이다. 하지만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2.4%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1.9%포인트나 하락했다.


이는 외환위기 시절인 1998년의 67.6% 이후 18년만의 최저 수준이다. 소매판매는 비내구재와 내구재, 준내구재가 늘면서 전년 대비 4.1% 증가했고 설비투자는 산업용기계, 영상ㆍ음향ㆍ통신기기 등에서 투자가 줄면서 1.3% 감소했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