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시, '빈 집'으로 '초소형 임대' 짓는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7초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서울시가 '빈 집'을 활용한 임대주택 공급에 나선다. 낙후지역의 공가를 리모델링하는 종전 방식과 달리 재개발 지역 내 공가를 초소형 임대 주택으로 대거 내놓는 방안이다. 재개발 내 임대주택 공급은 물론 공가 관리도 수월해질 전망이다.


서울시, '빈 집'으로 '초소형 임대' 짓는다 /
AD

19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시는 동대문구 이문ㆍ휘경 재정비촉진지구 내 미취사가구(공가)를 수용, 20~30㎡대의 임대주택으로 공급하기로 했다. 20㎡대 200가구, 30㎡대 100가구 등 총 300가구로 이문 3ㆍ4구역에 집중 공급된다.

당초 서울시는 이문ㆍ휘경 재정비촉진지구에 장기전세주택 총 3235가구를 공급할 예정이었다. 이중 절반 이상을 50㎡ 이하로 배치해 1~2인가구 수요에 대응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문 2구역이 전체 사업지에서 제외되며 임대주택 공급량도 줄었다. 전체 물량이 1만4216가구에서 1만2360가구로 줄어든 결과다.


이에 서울시는 공가를 활용해 임대주택 부족분을 채우기로 했다. 이문 구역에 집중된 대규모 공가를 재정비촉진지구에 포함시키는 방식으로 인근 1인 임대 수요가 많은 점도 고려했다. 무엇보다 시 차원에서 진행하던 '빈집 리모델링'을 통한 임대주택 공급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빈집 리모델링을 통한 방식으로는 대규모 임대 수요에 대응하기 쉽지 않다"며 "수요에 비해 비용이 많이 드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고 말했다. 실제 서울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금까지 빈집을 리모델링해 주거취약층에 빌려주는 방식으로 단 20여곳에 150명을 입주시키는데 그쳤다.

정비사업을 통해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탓에 예산 문제도 해결됐다. 리모델링된 빈집을 청년들에게 임대하는 '빈집 살리기 프로젝트'에 배정된 예산은 불과 8억원이다. 지난해 주거취약계층을 위한 주거 개선 예산 2461억원 중 2450억원이 주거급여수급자 지원액으로 빠진 점을 감안하면 거의 없는 셈이다.


서울시가 집중 관리하고 있던 공가 관리도 수월해졌다. 자치구 통계에 따르면 현재 서울시에 버려진 빈집은 1만9000여가구로 너무 낡은 탓에 매매는 물론 임대도 쉽지 않아 도심슬럼화의 원인으로 지목돼 왔다. 더욱이 빈집의 규모도 매년 늘고 있다. 지난해 빈집은 1년 새 7.6% 증가했다.


서울시는 이번 이문ㆍ휘경 재정비촉진지구 내 공가 재개발을 시작으로 활용폭을 넓힌다는 방침이다. 다만 공가가 몰린 강북권 일대 재개발에 집중된다. 지난해말 기준 자치구별 공가수는 노원구가 1192가구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성북구(1153가구), 동대문구(1130가구), 서대문구(1073가구) 등이 1000가구 이상으로 집계됐다. 반면 강남 3구에서는 강남구가 803가구, 서초구가 560가구, 송파구가 911가구 등으로 상위권과 차이를 보였다.


서울시 관계자는 "정부 지원책과 민간영역 참여 확대를 통해 임대주택 공급방안을 다양화할 방침"이라며 "1인 수요 충족은 물론 도심슬럼화와 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해서도 공가 활용도를 더욱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