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4차산업혁명 주도할 6500명 양성…5대 과제에 895억 투입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0초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정부가 4차 산업혁명과 산업구조 고도화를 주도할 신산업 분야 산업전문인력 6500여명을 양성하기로 했다. 5대 과제에 894억9000만원을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는 18일 이 같은 내용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2017년도 산업인력양성 계획’을 발표했다.

▲신산업 고급인력양성 신규 투자 확대 ▲산업구조 조정 대응 및 고도화 인력양성 강화 ▲현장중심 공학교육혁신 지속 추진 ▲지역 맞춤형 실무인력양성에 기업-대학간 협력 강화 ▲산업인력양성 중장기 정책방향 정립 등이 5대 추진과제다.


산업부는 5대 과제에 총 894억9000만원을 지원해 석박사급 1,700명 및 학부급 4,800명 등 총 6,500명을 양성한다는 목표다.

이번 계획은 저성장 및 산업구조조정 등으로 인하여 기존 일자리가 위협받고 있으나, 새로운 산업 창출 및 일자리 생성의 기회도 공존하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마련됐다.


먼저 신산업 인력양성 확대측면에서 미래형자동차, 무인비행장치 분야 인력양성을 신규 추진하고 바이오, 로봇 등 신산업분야 고급인력 양성에 집중 투자하기로 했다.


자동차?ICT 융합형 핵심기술 전문인력 180명을 양성하여 스마트카 핵심부품 산업의 고급인력 공급하고, 무인기(드론)에 IT, AI 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기술융합형 전문인력 200여명을 육성한다.


첨단센서 분야에서 중소기업 IoT 가전개발 등에 응용 가능한 센싱 소자를 중심으로 산업맞춤형 현장인을 양성할 계획이다.


또 로봇분야에서 기업참여 설계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 비즈니스 창출형 석사과정, 학부생과 취업예정자를 대상으로 한 휴머노이드 로봇융합 단기 집중교육과정 등으로 현장밀착형 인력 180명을 배출하기로 했다.


디자인분야에서는 기획에서 디자인, 생산, 유통 등 전 과정을 리드할 디자인-공학 융합형 석박사급 전문인력 45명을 교육한다.


이와 함께 산업 구조 조정?고도화 대응 측면에서는 구조조정 퇴직인력의 경력 개발 및 전환을 적극 지원하고, 스마트 공장 등 직무능력의 혁신이 필요한 분야의 인력 양성을 강화하기로했다.


LNG 연료추진선 설계, 스마트선박 기자재 국제인증 교육 등을 통해 중고급 퇴직 인력의 해외 유출을 예방하고, 스마트공장 핵심 기반기술 개발 및 IT, AT, OT을 활용한 스마트공장 운영설계를 위한 석박사급 전문인력 225명을 양성한다.


엔지니어링 분야 연구센터(EDRC)를 통해 기업수요 50과목을 개설하는 등 산업계 수요 반영 전문인력 341명도 배출한다.


아울러 현장중심의 공학교육혁신에도 박차를 가한다. 현장실무 공학인재 양성의 참여기업을 150개 이상 확대하고 학교-기업 간 연계망을 강화하기 위해 산학연추진단을 활용하기로 했다.


현재 추진 중인 캡스톤 디자인 참여기업을 1200개사 이상으로 확대하고, 혁신센터별 차등 지원을 통해 성과를 제고할 계획이다. 산학이 화학적으로 융합된 형태의 공학교육혁신지원 중장기(2018~2022년) 추진전략도 수립한다.


공학실무역량 평가제도(TOPEC)의 경우 공학인력이 산업현장에 필요한 실무역량을 보유했는지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모델을 개발·운영한다. 현재 화학분야를 시범 개발중이다.


또 지역 내 기업수요 선조사-산업인턴 후매칭으로 지역에 활력 산업 창출 분야를 발굴하고 지역 내 인력 미스매치를 해결하는 등 기업-대학간 협력 강화도 강화한다. 중소?중견기업 R&D 산업인턴 인원은 작년 300명에서 올해 500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기업연계형 연구개발 인력양성에서는 12개 컨소시엄에 39억원을 지원하고, 참여 학생의 70% 이상 동종업계 취업을 목표로 한 실무형 인재 양성 추진 및 지방기업?대학의 사업 참여를 늘리기로 했다.


산업부는 2017년 계획 수립에 이어 상반기 중 미래 산업수요 전망을 실시하고 4차 산업혁명 대비 인력정책 비전을 마련할 계획이다.


강성천 산업정책실장은 “미래 신산업을 개척하고 기존 산업의 고도화를 담당할 핵심 인재를 양성하는 데 초점을 뒀다”며 “산업계와 학계가 실질적으로 협업하여 우수 인력을 길러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 고 말했다.




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