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제수용 과일값도 '비상'…사과ㆍ배ㆍ단감값 '↑'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작황 좋지 못해 출하량 줄어든 영향

제수용 과일값도 '비상'…사과ㆍ배ㆍ단감값 '↑' 위 사진은 아래 기사내용과 관계없음.
AD


[아시아경제 조호윤 기자]대표적인 제수용 과일 사과와 감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어 설 상차림 물가에 빨간불이 켜졌다. 전문가들은 채솟값에 이어 제수용 과일값까지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

9일 한국농수산유통공사(aT)에 따르면 후지 사과 10kg은 지난 6일 3만9600원에 거래됐다. 이는 한 달 전보다 5.8%, 일 년 전보다 8.8% 오른 수준이다. 신고 배도 마찬가지다. 같은 날 거래된 신고 배 15kg은 3만9800원으로 최근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작년보다는 9.1% 낮은 가격 수준이지만, 한 달 만에 8.6% 오른 가격이기도 하다. 단감 값도 비슷한 실정이다. 같은 날 거래된 단감 10kg은 2만4000원으로, 이는 전월비 8.7%, 전년비 22.4% 오른 수준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이 발간한 12월 과일·과채관측월보에 따르면 사과 값은 지난해 여름 기록적인 폭염의 영향으로 출하량이 줄어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전문가들은 지난해 사과 생산량을 착과수 감소와 폭염으로 전년보다 5% 적은 55만1000t으로, 저장량(12월~올해 6월)은 후지 생산량 감소로 전년보다 6% 적을 것으로 추정했다.

저장량 감소로 올해 1월 사과 출하량도 전년보다 3% 적을 것으로 분석됐다. 사과 재배면적도 지난해보다 2% 증가한 3만2935ha로 전망됐다. 성목면적은 지난해보다 1% 증가하고, 유목면적은 신규 식재가 늘어 3% 증가한다는 분석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올해 설 사과 공급은 충분할 것으로 내다봤다. KREI 모니터 조사결과 후지의 대과 비율이 전년보다 6%p 높아진 것으로 나타난데다, 명절에 필요한 대과 위주의 저장이 많기 때문이다.


단감 값이 오른 이유도 지난해 12월 출하량이 저장량 감소로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KREI는 올해 1월 이후 출하량은 저장량 감소로 전년보다 37% 감소할 것으로 예상, 가격 오름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올해는 상품과가 적어 등급간 가격차가 작년보다 클 것으로 예측됐다.


배 생산량도 넉넉하지 못하다. 올해 1월 이후 배 출하량은 저장량이 적어 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조호윤 기자 hodo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