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韓양복 역사를 한 눈에…‘100년의 테일러, 그리고 대구’展

시계아이콘00분 3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韓양복 역사를 한 눈에…‘100년의 테일러, 그리고 대구’展 대한제국 대례복을 착용한 김가진(金嘉鎭),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장 김자동 소장[사진=국립민속박물관]
AD


[아시아경제 김세영 기자] 국립민속박물관은 대구경북섬유산업연합회 DTC섬유박물관과 함께 2일부터 내년 3월12일까지 DTC섬유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공동기획전 ‘100년의 테일러, 그리고 대구’展을 연다.

이번 특별전은 국립민속박물관 학술 조사보고서 ‘100년의 테일러(2015년 발간)’를 기반으로 해 이뤄진 지역박물관과의 공동사업이다.


섬유도시로 잘 알려진 대구는 최초 국산 양복지가 생산된 곳이자 서문시장을 통한 활발한 유통을 바탕으로 양복 대중화에 큰 역할을 했다.

이번 전시에는 우리나라 양복의 100년사와 함께 대구지역 양복점 및 테일러(tailor)를 주제로 대한제국의 ‘대례복(大禮服)’, 일제강점기의 ‘연미복’ 1960년대 생산된 국산 양복지 ’골덴텍스(goldentex)‘ 등 양복의 도입에서부터 정착까지의 변화 과정을 보여주는 전시자료 150여 점을 선보인다.


韓양복 역사를 한 눈에…‘100년의 테일러, 그리고 대구’展 중앙로의 봉봉라사, 봉봉라사 소장[사진=국립민속박물관]



근대기에 도입된 양복은 100여 년을 거쳐 오늘날 일상화된 정장(正裝)으로 정착했다. 그 안에는 양복 제작기술자인 테일러의 등장을 비롯해 양복점과 맞춤 양복의 확산, 기성 양복시장의 확대, 양복 소비형태의 변화 등 다양한 문화의 변천이 담겨 있다.


전시는 총 3부로 나뉜다. ‘제1부-양복의 도입’에서는 양복의 도입 계기가 된 ‘육군복장규칙’(1895) 및 ‘문관복장규칙’(1900)의 의미와 이로 인해 새롭게 바뀐 정부 관료의 문무복(文武服)을 소개하고 ‘제2부-테일러의 등장과 성장’에서는 양복점과 새롭게 등장한 직업인 양복 기술자 테일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부-대구의 테일러’에는 대구 양복점 거리의 테일러들의 이야기를 통해 광복 이후 대구 지역 양복의 역사를 조망했다.




김세영 기자 ksy123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