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보호무역주의를 앞세운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차기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철강업종에 대한 우려의 시각이 높다. 반덤핑 관세 등 규제가 강화되면 미국으로 철강재 수출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미 수출 비중이 크지 않아 영향은 제한적이란 분석과 함께 인프라 투자 강화를 내세운 트럼프의 정책으로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트럼프 당선자가 대표적인 규제 대상으로 언급한 게 철강 업종이다. 지난 9월말 기준 미국이 내린 총 353건의 반덤핑 상계관세 가운데 철강제품 수입 규제가 40%를 차지한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런 규제 기조를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때문에 수출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높다. 지난 7월 미국 상무부(DOC)는 한국산 도금강판에 이어 냉연강판에 최대 65%의 관세를 물리기로 결정했다. 지난 8월에도 한국산 열연강판에 반덤핑·상계 관세율을 최종 판정했다.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각각 60.93%, 13.38%의 관세율이 결정됐다.
특히 철강은 국내 생산량의 절반이 수출된다. 이 중 미국 수출은 13%이지만 상대적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고급강재 비중이 크다. 미국 철강업계의 압력으로 관세 장벽이 계속 높아져 왔던 터라 포스코 등 한국 업체들은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미국은 한국산 열연·냉연 강판 등에 대해 올해 최대 60%가 넘는 보복관세를 부과했고 이로 인해 지난달까지 대미 철강 수출은 20% 가까이 줄었다.
다만 전문가들은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더라도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미 관세장벽을 높인데다 국내업체의 미국 수출비중이 높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최문선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9월 기준 한국 철강 출하량에서 미국 수출 비중은 4.1% 수준"이라며 "이미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한데다 국내 철강업체의 미국 수출비중이 미미해 피해가 확대될 여지는 적다"고 내다봤다.
오히려 인프라 투자 강화를 내세운 트럼프의 정책으로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인프라 투자 정책이 시행된다면 국내 에너지강관 업체들의 수혜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박성봉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미국 셰일업체의 원유와 가스 시추를 비롯한 대규모 인프라 투자는 국내 에너지용강관 수출업체들에게는 긍정적"이라며 "다만 나머지 철강재의 경우 미국 인프라투자는 자국내 철강기업들의 수혜에 그칠 전망"이라고 예상했다.
또 한 가지는 환율효과다. 트럼프가 위안화 절상 압력을 가하겠다고 주장한 만큼 위안화 절상이 이뤄진다면 철강재 수출단가에 긍정적이다. 방민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위안화 절상은 그동안 글로벌 철강재 가격의 교란요인으로 작용했던 중국 철강재 수출단가에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자국 내 초과공급을 순수출로 소진해온 중국의 구조조정이 가속화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