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부여 능산리 고분군, 백제 왕릉급 추정 고분 확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0분 48초

기록상의 왕릉급 고분 4기 실체 확인, 고분 3기 추가 발견

부여 능산리 고분군, 백제 왕릉급 추정 고분 확인 부여 능산리 고분군
AD


[아시아경제 김세영 기자] 문화재청과 부여군은 지난 6월부터 충남 부여군 부여 능산리 고분군(사적 제14호) 서쪽지역 발굴조사에서 기록으로만 존재하던 고분 네 기를 확인하고,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세 개의 고분을 추가로 발견했다.

또한 기존 네 기의 고분 중 일제강점기에 이미 발굴된 적이 있던 고분 한 기에 대한 재발굴 조사와 또 다른 고분 한 기에 대한 추가 발굴조사를 통해 이들 두 고분이 왕릉급으로 추정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부여 능산리 고분군은 일제강점기에 세 차례(1915년·1917년·1937년)에 걸쳐 조사가 이루어지면서 총 열다섯 기의 고분을 발견했다. 이후 1960년대 고분 두 기를 추가해 현재까지 총 열일곱 기 고분을 확인했다. 그런데 이번 조사에서 고분 세 기를 추가로 발굴했다. 이중 고분 두 기는 왕릉급이라 추후 조사가 마무리되면 백제 왕릉의 축조기법까지 확인할 수 있다.


이번에 발굴한 두 기(8호분·10호분)는 지름이 15~20m 정도 길이의 횡혈식 석실(橫穴式 石室, 굴식돌방무덤) 구조인데 백제 왕릉급 무덤 호석(護石)이 두 고분 다 봉분 바깥으로 둘러져 있다. 연도(羨道) 문밖에서는 옻칠과 함께 금으로 도금된 목관 조각과 금동 못 등의 유물을 발견했으며 목관의 소재도 수종 분석 결과 고급나무인 금송(金松)임을 확인했다. 금송으로 목관을 짠 사례는 공주 무령왕릉 등 왕릉에서 주로 나온 것이라 이번에 발굴한 고분 두 기도 모두 백제시대 왕릉급 고분이라는 판단의 근거가 됐다.


무엇보다 발굴 당시 봉분의 모양, 호석, 묘광과 석실 등 당시 원형이 그대로 남아있어 백제 왕릉급 고분의 규모와 축조기법, 조성기법 등을 알 수 있어 그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김세영 기자 ksy123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