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신흥국의 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왔다. 올해 중 미국이 금리를 인상할 것이란 기대가 끊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신흥국이 이에 대한 대비를 해야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국제금융센터가 최근 발표한 '미국 금리인상과 신흥국 금융불안간의 관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987년부터 2014년까지 미국의 금리인상 기간 중 신흥국의 위기는 4.9회 발생했다. 이는 비긴축기간의 위기발생 횟수인 1.9회보다 2.6배 가량 높은 수치다.
특히 지난 2013년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이후 미국과 신흥국간의 국채시장이 동조화되면서 미국의 불안이 신흥국으로 전이되는 현상이 심화되고, 신흥유럽과 아프리카로 전이되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만약 글로벌 금융시장에 위험자산 회피성향이 클 때 미국이 금리인상을 할 경우 신흥국의 자본유출과 위기발생 가능성이 커진다고 FRB 뉴욕 보고서를 인용해 지적했다.
이같은 상황은 금리인상 기대가 시장에 반영돼 있는지 여부에 따라 자본유출 경로 등을 통해 신흥국의 위기를 초래하기도 했다. 지난 2013년 미국이 양적완화를 축소하고 금리 인상 기대가 커졌을 당시 신흥국 자금은 290억달러나 유출됐다. 하지만 지난해 말 미국이 금리인상을 했을 당시에는 유출 규모가 35억달러에 그쳤다. 이미 미국이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란 기대감이 시장에 형성돼 있던 것이 영향을 미친 것이다.
아울러 실질연방기금금리가 자연이자율에 비해 높을 경우 미국의 금리 인상은 신흥국의 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았다. 실질연방기금금리를 1%포인트 올렸을 때 자연이자율에 비해 낮은 경우에는 신흥국 위기가 3.3회에 그쳤지만 자연이자율을 상회할 경우 8.6회로 확대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권식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미국의 금리인상이 완만하게 전개되더라도 달러 강세가 동반되면 신흥국 자본유입에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며 "신흥국에서 외화자금이 대폭 이탈하면 고환율-고물가-고금리로 심각한 스태그플레이션을 겪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