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전지·무인차량·광유전학 등도 포함돼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카이스트(KAIST) 이상엽 교수의 시스템대사공학이 세계경제포럼의 '10대 떠오르는 기술'에 선정됐다.
세계경제포럼은 23일 오후 12시(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이상엽 교수의 시스템대사공학을 포함한 10개의 떠오르는 기술을 선정해 발표했다.
세계경제포럼의 '10대 떠오르는 기술'은 2012년 이 교수가 미래기술 글로벌아젠다카운슬(Global Agenda Council on Emerging Technologies, GACET)의 의장을 맡으면서 시작됐고 올해로 다섯 번째 리스트가 발표됐다.
2016년 10대 떠오르는 기술에는 ▲나노 센서와 나노 사물인터넷 ▲차세대 전지 ▲블록체인 ▲2D 소재 ▲무인차량 ▲칩 위의 장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열린 인공지능 생태계 ▲광유전학 ▲시스템대사공학 등이 선정됐다.
이 교수가 창시한 시스템대사공학은 미생물의 체계적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대사공학을 통해 다양한 화학물질, 연료, 고분자 등을 친환경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기후변화 등 여러 환경 문제의 대안이 될 수 있는 기술로 부각됐다.
10대 떠오르는 기술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취합해 매년 11월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열리는 글로벌아젠다카운슬에서 초안을 작성한 후 미래기술 글로벌메타카운슬(GMCET)에서 준 최종 리스트를 결정한다. 다음해 1월 다보스포럼에서 의견을 종합해 최종 선정한다.
세계경제포럼의 이사회 임원이자 정보와 상호작용 책임자인 제레미 저진스(Jeremy Jurgens)는 "이번 10대 기술들은 전 세계적 주요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되는데 동시에 막대한 경제적, 사회적 위험 또한 갖고 있다"며 "4차 혁명에 진입하면서 모두가 같은 기준과 프로토콜을 공유해 기술이 인류를 돕고 미래의 번창과 지속성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10대 떠오르는 기술
△나노 센서와 나노 사물 인터넷
2020년까지 사물인터넷은 약 300억 개의 연결 장치들로 구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 중 가장 각광받고 있는 영역은 인체를 순환할 수 있거나 건축자재에 내장될 수 있는 나노센서이다. 나노 사물 인터넷이 실현 되는 순간, 의학, 건축, 농업 그리고 제약분야의 미래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차세대 전지
재생가능한 에너지의 개발에 있어 가장 큰 방해물은 수요와 공급을 맞추는 것이다. 최근 개발된 나트륨, 알루미늄, 아연 기반의 미니그리드(mini-grid) 전지 기술은 깨끗하고 신뢰가 가며 24시간 온 마을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블록체인
이미 온라인 화폐인 비트코인에 의해 많은 전자 장부가 배포됐다. 2015년 한 해에만 10억 달러의 벤처투자를 받은 분야로써, 블록체인으로 받는 경제적, 사회적 영향은 시장과 정부의 일하는 방법을 완전히 바꿀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2D 소재
그래핀은 가장 잘 알려진 단일 원자 층의 소재인데 이러한 소재가 단 하나뿐이지는 않다. 급락하는 생산원가의 의미는 2D 소재가 공기와 수질 필터부터 차세대 착용형 기기 및 배터리 등 다양한 곳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무인차량
무인 자동차는 생명 구조 능력, 오염 최소화, 경제 신장, 노인의 삶의 질 향상 등 다양한 사회적 도움을 줄 수 있는 가능성 때문에 급격한 성장을 했고 완전한 무인화 기술이 형성되는 중이다.
△칩위의 장기
USB 사이즈의 미니어처(miniature) 인간 장기는 연구자들의 생물학적 행동원리의 관찰을 가능케 함으로써 의학 연구와 신약 개발에 있어서의 혁명을 일으킬 것이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이 새로운 태양전지 소재는 기존의 태양전지를 세 가지 면에서 향상시켰다. 쉬운 제작, 어디는 쓸 수 있는 특성, 더 효율적인 전기 생산을 가능케 한다.
△열린 인공지능 생태계
공유된 자연 언어 처리의 진보와 사회 의식적 알고리즘이 전례에 없는 데이터(data) 접근성과의 결합을 통해 개인의 재정과 건강관리 등 광범위한 일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디지털 비서의 등장이 가능할 것이다.
△광유전학
뇌의 뉴런의 행동을 기록하기 위해 빛과 색이 사용되어 왔다. 최근 발견을 보면 빛이 뇌 세포의 더 깊숙이 침투할 수 있으며 뇌 질환을 가진 사람들의 치료에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시스템 대사공학
합성생물학과 시스템 생물학의 발달과 진화공학의 진보로 석유기반의 생산보다 싸고 용이한 지속가능한 바이오매스 기반으로의 생산이 가능한 화학물질들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