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1분기 실질GDP 0.5%…국내총투자율 6년9개월만에 최저(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5초

1분기 실질GDP 0.5%…국내총투자율 6년9개월만에 최저(종합)
AD


[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분기대비 0.5% 성장했다. 제조업은 부진했지만 건설업 호황으로 속보치보다 0.1%포인트 증가했다.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1분기 교역조건 개선으로 3.4% 성장했다.

다만 제조업 설비투자 감소폭은 확대됐다. 국내총투자율은 2009년 2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한국은행이 2일 발표한 '2016년 1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실질GDP는 전기대비 0.5% 증가했다. 이는 지난 4월 발표된 속보치보다 0.1%포인트 오른 수치다.

실질GDP는 지난해 1분기 0.8%에서 메르스 사태가 터졌던 2분기 0.4%까지 떨어졌다. 직후 정부의 소비활성화 대책으로 1.2%까지 대폭 늘었지만 4분기 0.7%까지 떨어졌다.


◇건설업·민간소비 개선, 제조업은 '마이너스'성장=한은은 건설투자와 민간소비가 예상보다 늘면서 속보치보다 성장률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건설투자는 1분기 6.8% 성장해 속보치보다 0.9%포인트 늘었다.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이 모두 늘어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민간소비는 속보치보다 감소폭이 0.1%포인트 줄어든 0.2% 성장했다.


김영태 한은 국민계정부장은 "1월에는 승용차 판매가 큰 폭으로 줄었지만 정부의 개별소비세 인하 연장 조치가 있던 2월 이후 승용차 판매가 큰 폭으로 올랐다"며 고 설명했다.


수출과 수입 감소폭도 줄었다. 수출은 석탄 및 석유제품, 자동차 등이 줄어 1.1% 감소했으나 속보치(-1.7%)보다는 덜 악화됐다. 이에 순수출 GDP 성장기여도도 속보치 -0.3%포인트에서 -0.2%포인트로 올랐다.


경제활동별로는 제조업이 기계 및 장비, 자동차가 줄어 전기대비 0.2% 감소했다. 속보치와 동일한 것으로 2014년 4분기 이후 5개월만에 역성장을 기록했다. 건설업은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을 중심으로 속보치보다 1.6%포인트 오른 4.8% 증가했다. 서비스업은 금융 및 보험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등을 중심으로 0.5% 성장했다.


◇ 실질 GNI 3.4% 증가…교역조건·국외순수취요소소득 ↑=실질 국민총소득(GNI) 증가율은 1분기 중 국제유가 하락으로 교역조건이 개선되고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늘어 3.4%를 기록했다. 이는 최근 4개 분기 동안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전 분기 대비 실질 GNI 증가율은 작년 1분기 4.0%를 찍은 뒤 2분기 0%, 3분기 1.5%를 기록했고 작년 4분기에 0%로 내려앉았다.


실질 GNI는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무역손익을 반영해 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실질 국내총소득(GDI)에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한국인이 외국에서 번 소득에서 국내 외국인이 번 소득을 뺀 것)을 합해 계산된다.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의 경우 지난해 4분기 3000억원에서 올 1분기 1조2000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GDP디플레이터는 전기비 1.6% 상승했다.


◇국내 총투자율 6년 9개월만에 최저…미래 성장동력은?=1분기 실질GDP와 GNI가 예상보다 개선됐지만 2분기 이후 경제상황을 낙관하긴 이르다. 설비투자가 대폭 줄고, 국내 총투자율이 지난해 3분기 이후 하락세를 보이면서 미래 성장력에 빨간불이 켜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1분기 국내총투자율은 전기대비 1.3%포인트 하락한 27.4%로 나타났다. 이는 2009년 2분기(26.7%) 이후 6년 9개월만에 최저치다. 올해 1분기 설비투자 성장률이 -7.4%로 2012년 2분기(-8.5%) 이후 최저치를 기록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김 부장은 "1분기 운송장비 중 중대형 항공기 도입대수가 줄었고 반도체를 중심으로 기계류에서 설비투자가 크게 줄었다"며 "2분기 중 항공기 도입이 늘어날 것이라는 모니터링 결과가 있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총저축률(36.2%)은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이 2.8% 늘어났지만 최종소비지출이 -0.1%로 소폭 감소하면서 전기대비 1.8%포인트 상승했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국제유가가 반등하면서 교역조건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투자와 소비동력도 많이 줄어 2분기 이후 경제 성장력이 부진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며 "통화-재정정책의 단기 노력과 함께 중장기 성장을 위해 구조조정을 토한 미래 성장동력 확보와 규제완화를 통한 내수공급여건 확대 정책 등의 노력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