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제조업 노동생산성이 6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2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3분기 제조업 노동생산성지수의 평균은 96.7로 전년 같은 기간(99.4)보다 2.7% 떨어졌다.
1분기 97.7를 기록한 이후 2분기에는 97.0으로 소폭 낮아졌지만 3분기 들어 95.5로 크게 감소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있었던 2009년(90.8) 이후 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을 것으로 보인다.
노동생산성지수는 투입 노동량(상용근로자 수×근로시간)에 대한 산출량의 비율로, 제조업 생산이 얼마나 효율적인지 파악할 수 있는 지표다.
2010년 100을 기준으로 제조업 노동생산성 지수는 2011년 102.5로 증가했다가 2012년 102.2(-0.4%), 2013년 100.8(-1.3%), 2014년 99.3(-1.6%) 등 4년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노동생산성이 떨어진 가장 큰 이유는 수출 부진으로 제조업 경기에 한파가 불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노동생산성이 높은 업종인 철강, 화학, 조선업이 저유가와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수출은 고전하고 있다.
지난해 광공업 생산은 2009년 이후 6년 만에 처음으로 줄었고, 제조업 평균가동률(74.2%)은 1998년 이후 17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최근에는 수출을 떠받치던 전자제품 업종까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달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7.8% 줄어든 118억6000만달러로, 1월 수출액으로는 2012년 이후 최소치다.
이런 상황에서 한계기업 구조조정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아 고용 규모가 유지되면서 생산성 하락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김성태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경기가 나쁜 업종의 구조조정이 제대로 되지 않아 제조업 전체 생산성도 악화되고 있다"며 "노동시장을 유연하게 만들어 노동력이 경기가 나쁜 업종에서 괜찮은 업종으로 원활히 움직일 수 있는 구조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