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北 테러 중심 ‘정찰총국’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7초

北 테러 중심 ‘정찰총국’은? 김양건에 이어 통일전선부장에 오른 것으로 알려진 김영철 전 정찰총국장. (사진=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노태영 기자]최근 우리 정보 당국은 북한의 대남 테러 등 추가 도발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 특히 그 중심에는 정찰총국이 있다.

국정원은 18일 국회에서 열린 '긴급 안보상황 점검 당정 협의회'에서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최근 대남 테러를 위한 역량 결집을 지시했으며, 대남공작 총괄기구인 정찰총국이 이를 준비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실제로 정찰총국이 외교관 출신 탈북민인 고영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부원장에 대한 암살 지령을 내렸다는 첩보를 우리 정보 당국이 입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지난달 중순부터 고 부원장에 대한 무장 경호를 강화해 24시간 밀착 경호를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서 거론되는 북한의 정찰총국은 2009년 인민무력부 산하 정찰국을 중심으로 노동당 산하 작전부 및 35호실 등 3개 기관이 통합된 거대 기구다.


구체적으로 간첩 양성 교육기관을 운영하는 1국과 암살·폭파·납치 등을 담당하는 2국, 공작장비 개발이 주임무인 3국, 대남 및 해외정보 수집 등을 맡은 5국 등 모두 6개 국으로 이뤄졌다.


특히 ‘121국’으로 불리는 정찰총국 산하 전자정찰국과 사이버전 지도국은 ‘사이버테러’ 전담부대로 운영된다. 약 3000여명의 전문 해커 인력이 투입된 것으로 정보 당국은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정찰총국의 사이버테러 능력이 미국 중앙정보국(CIA)에 맞먹는 수준이라는 평가다.


실제 북한의 첫 대규모 사이버테러로 알려진 2009년 7·7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은 정찰총국 신설 직후에 일어났다. 또 2010년 3월 천안함 사건도 정찰총국이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태영 기자 factpoe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