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美 외교 1~2인자, 중심(中心) 잡나?

시계아이콘01분 07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노태영 기자]미국 국무부의 서열 1·2위가 잇따라 중국을 방문한다. 이들은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대북제재 수위를 높이기 위한 중국의 ‘역할’을 거론하면서 외교적 총력을 쏟을 전망이다.


美 외교 1~2인자, 중심(中心) 잡나? 토니 블링큰 미 국무부 부장관.
AD

우선 토니 블링큰 미국 국무부 부장관은 19~20일 방한해 청와대 고위 관계자와 윤병세 외교부 장관, 임성남 외교부 제1차관을 만날 예정이다. 이어 베이징으로 건너가 장예쑤이 중국 외교부 상무부 부장과 대북제재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설득작업에 나선다.


美 외교 1~2인자, 중심(中心) 잡나? 존 케리 미 국무부 장관.

특히 주목할 일정은 27일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의 베이징 방문이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안이 나오기 전 제재의 폭과 강도에 대한 ‘미·중 간 담판’이 이뤄질 지 국제사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 국무부는 15일(현지시간) 케리 장관의 방중 일정을 공식 발표하면서 "중국 정부 지도자들과 만나 북한 문제를 포함해 다양한 양자와 지역, 글로벌 현안들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미국의 외교 최고위급 인사의 방문에 중국의 ‘실질적 응답’ 여부다. 그 잣대의 하나는 케리 장관의 시진핑 국가주석을 예방 가능성이다. 기존 중국 측 고위인사들을 만나는 수준에서 돌아올 경우 중국의 대북제재의 스탠스가 변할 지는 의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한 외교전문가는 “이번 북한의 핵실험 이후 한·미·일 지도자 중 누구도 아직 시 주석과 통화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중국의 최고 권력자인 시 주석의 마음이 어느 쪽에 있느냐에 따라 이번 안보리 결의안의 결이 달라질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이번 ‘북핵 사태’를 바라보는 중국의 입장은 ‘강에서 온’으로 조금씩 이동하는 모양새다. 중국은 6일 북한의 제4차 핵실험 직후 '결연한 반대' 등으로 북한을 강력 비판했다. 하지만 이후 ‘냉정·절제·대화’란 말로 한미일과 미묘한 온도차를 드러냈다.


훙레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8일 정례브리핑에서 "각국이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이란 큰 방향을 견지하고 합리적으로 각자(당사국들)의 관심과 우려를 해결해야 한다"며 "지역의 항구적 평화·안정을 공동으로 수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19일 기준) 북한의 핵실험 이후 13일째다. 과거 3번의 안보리 결의안 채택시기는 조금씩 늦춰졌다. 1차 핵실험 이후 5일, 2차 18일, 3차 23일이 걸렸다. 그 만큼 대북제재의 강도가 커지는 것에 비례에 당사국간의 고민도 깊기 때문이다. 조급해 할 필요는 없지만 이번 미국의 외교적 결단이 ‘중심(中心)’을 움질일 지 주목된다.




노태영 기자 factpoe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