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16년 1분기 수출 전망, 가전 맑고 철강 흐리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아시아경제 송화정 기자]2015년 수출 부진이 지속된 가운데 2016년 1분기 수출경기도 큰 폭의 회복세 없이 전분기 수준을 보일 것으로 나타났다. 가전제품, 무선통신기기는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철강과 석유제품은 전분기 대비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2016년 1분기 수출 전망, 가전 맑고 철강 흐리고
AD


27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국내 605개 수출업체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수출산업경기전망 조사'에 따르면, 2016년 1분기 수출산업경기 전망지수(EBSI)는 101.4을 기록해 수출경기가 전분기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됐다.

EBSI는 0∼200을 갖는 지수로서 전분기에 비해 경기를 밝게 보는 의견이 많을수록 200에, 경기를 어둡게 보는 의견이 많을수록 0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좋게 보는 의견과 나쁘게 보는 견해가 균형을 이룰 경우 100이 된다.


항목별로 보면, 무역업계는 2016년 1분기 중 수출상담과 수출계약은 소폭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으나 수출국 경기, 수출채산성, 자금사정 등은 전분기보다 악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품목별로는 가전제품, 광학기기, 무선통신기기 등을 중심으로 2016년 1분기 수출경기가 회복될 것으로 조사됐다. 가전제품은 122.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광학기기(112.1), 무선통신기기(105.0)가 그 뒤를 이었다. 가전제품의 경우 우리 기업 우위인 프리미엄급 제품군 중심의 마케팅 강화로 글로벌 선도업체로서의 위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무선통신기기의 경우 제품라인업 개선을 통한 대응 강화, 생산거점인 중국·베트남을 중심으로 부품 수출의 호조세 지속에 힘입어 수출경기가 밝을 전망이다. 반면, 철강제품, 석유제품 등의 수출경기는 전분기 대비 악화될 것으로 조사됐다. 철강의 경우 글로벌 공급과잉 지속으로 인한 수출단가 하락 및 수입규제 강화로 어려움이 예상되고 석유제품의 경우 공급과잉이 지속되는 가운데 중국·인도의 신증설로 수출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2016년 1분기 주요 수출애로요인으로는 수출대상국의 경기부진(19.4%)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중국 등 개도국의 시장잠식(16.1%)과 원화환율 변동성 확대(15.0%) 등을 주요 애로요인으로 지적됐다.


국제무역연구원 관계자는 "중국 경기둔화, 원자재 가격하락에 따라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세계 경제가 취약한 상황에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신흥국 경기를 더욱 위축시킬 가능성이 있다"면서 "우리 무역업계는 내년도 수출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원가절감·경영합리화·차별화된 제조기술 축적을 통한 경쟁력 강화, 중국 내수시장 진출 등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송화정 기자 pancak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