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내년 '전력 R&D'에 1.2조 투입…공기업 투자재원 두배로 확대

시계아이콘01분 3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정부가 내년 한 해 동안 한국전력 등 공기업의 기술개발 투자 재원을 두 배로 확대한다. 한국전력,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발전5사를 포함한 전력 연구개발(R&D)규모는 올해 6482억원에서 내년 1조1835억원으로 대폭 늘어날 예정이다.


또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프로슈머 육성, 소비자 서비스 향상을 3대 타깃 연구개발(R&D)로 삼고, 올해보다 50% 이상 늘어난 6774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서울 르네상스호텔에서 열린 '기후변화를 대비하는 전력 R&D' 컨퍼런스에서 이 같은 내용의 R&D 추진계획을 밝혔다.


정부는 신 기후체제 출범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신재생에너지 등 분산자원 확산, 스마트미터 보급 등 소비자 서비스 향상 요구를 전력분야에서 시급하게 풀어야 하는 과제로 진단하고, ▲3대 타깃 R&D ▲공기업의 기술개발 투자 확대 ▲전력분야 R&D협의체 운영 계획 등을 발표했다.

먼저 정부와 한전 등 공기업은 주요 3대 타깃 R&D에 대해 올해보다 51.7% 늘어난 6774억원을 내년 한해 투입한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이산화탄소포집·저장, 원전해체기술, 발전효율향상 등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집집마다 설치된 태양광, 풍력 등 소규모 분산자원을 활용해 생산된 전기를 전력시장에 자유롭게 판매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통해 에너지 프로슈머도 촉진한다. 또 스마트미터, 빅데이터, 마이크로그리드 등 소비자 서비스 향상과 관련한 R&D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공기업의 기술개발 투자도 올해보다 두 배 이상 확대한다. 정부의 전력분야 R&D 예산(1894억원)이 소폭 감소됐음을 감안한 조치다. 이에 따라 정부와 한전, 한수원, 발전5사를 포함한 전력 R&D규모는 올해 6482억원에서 내년 1조1835억원으로 대폭 늘어난다.


정부는 스마트그리드, 청정화력, 발전용 고효율 대형 가스터빈 등 기술개발과 전력 표준화, 인증, 정보화 등 기반조성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특히 한전은 탄소 포집 및 저장(CCS), 신재생에너지, 송·배전 효율향상 등 온실가스 감축 관련 기술개발에 올해보다 3배 가까이 R&D 투자(6078억원)를 확대하고, 민간기업 및 연구소와의 개방형 R&D도 추진하기로 했다.


한수원은 자체 예산을 활용하는 R&D를 2배 이상 늘려 원전해체, 폐기물 처리, 안전운영, 사용후핵연료기술, 방사선 안전관리 등 원전 분야 기술개발 투자를 강화한다.


발전5사는 대형 가스터빈 핵심부품 국산화, CO2 포집 및 활용을 위한 기술개발 등 발전분야 기술개발 투자를 확대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전력시장의 인센티브와 제도도 공기업이 R&D 투자 확대 등 기술개발에 노력을 집중하고 성과를 낼 경우 우대 받을 수 있도록 개편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내년 '전력 R&D'에 1.2조 투입…공기업 투자재원 두배로 확대
AD


이와 함께 정부는 전력당국과 전력분야 공기업과 함께 참여하는 ‘전력 R&D 협의체’를 운영하기로 했다. 정부, 한국전력공사, 한수원 등 발전6사 임직원, 민간위원 등 15명 이내로 구성된다.


공기업 클린에너지 R&D 투자방향, R&D 성과확산, 정책과의 정합성 강화, 해외 기술개발 동향점검, 해외 연구소와 협력채널 구축, 실증프로젝트협력 등에 대해 논의하게 된다.


채희봉 산업부 에너지산업정책관은 "기후변화와 신재생에너지, 분산자원이 확산되는 시대에 안정적인 전력공급과 소비자 부담을 최소화한다는 전통적 정책 목표를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도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신재생에너지 확산이 가져올 전력의 출력불안정성에 대응하는 기술, 기존 발전소의 효율을 높여 탄소배출을 줄이는 기술, 전기소비자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도 전력산업이 풀어야할 숙제"라며 "기후변화 대응, 분산자원의 확산, 소비자에 대한 혁신서비스 제공이라는 세 가지 정책목표를 기후변화시대 정부 및 전력 공기업 기술개발의 최우선 과제로 삼고 정부와 공기업이 함께 협력하여 일관된 정책을 추진할 것"을 강조했다.




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