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철의 여인’ 대처를 무릎 꿇린, 뇌졸중과 치매는?

시계아이콘02분 14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우리는 생각하는 대로 된다.” 영국 최초의 여성 총리, 마가렛 대처가 남긴 명언이다. 철의 여인으로도 불렸던 그는 12년간 영국에서 총리직을 맡아보며 지도자로서의 면모와 강인함을 보여줬다.


하지만 철의 여인으로 불릴 만큼 강인했던 그를 일시에 무너뜨린 질병이 있다. 다름 아닌 ‘뇌졸중’과 ‘치매’다. 철의 여인마저 무릎 꿇린(사망케 한) 뇌졸중과 치매에 대해 유성선병원 뇌졸중센터 한호성 소장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뇌졸중, 팔다리 마비 외에 치매증상 이어지기도
뇌졸중은 뇌혈관이 터지거나 막혀 신경학적 이상 증상이 발생되는 질병이다. 또 뇌의 혈관에서 나타나는 이상에 따라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기도 하다.


가령 뇌졸중에서 한쪽 팔다리의 마비는 가장 흔한 증상이기도 하지만 인지기능과 관련된 부위의 혈관에서 뇌졸중이 발생할 경우는 급작스런 치매가 동반될 수 있다.

치매는 기억력을 포함한 인지기능에 문제를 야기하고 이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


치매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 이중 우리가 통상적으로 알고 인지하는 치매가 ‘알츠하이머 치매’다. 알츠하이머는 전체 치매환자의 60%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크고 뇌의 위축(진행)에 따라 증상이 서서히 악화되는 특징을 갖는다.


알츠하이머에 이어 한국인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치매는 ‘혈관성 치매’로 꼽힌다. 혈관성 치매 환자는 전체 환자의 30%가량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된다.


혈관성 치매는 뇌혈관 문제로 인지기능이 손상되는 증상을 말한다. 알츠하이머 치매에 비해 증상이 단계적으로 나타난다는 점과 인지기능 손상 외에 다른 신경학적 이상 소견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특이점이다.


단 증상이 단계적으로 진행된다고 하더라도 예상치 않게 갑자기 발병할 수 있다는 점에선 위험성을 간과할 수 없게 한다. 마가렛 대처가 앓았던 치매 역시 ‘혈관성 치매’인 것으로 알려졌다.


◆뇌졸중 발병, ‘혈관성 치매’ 발생 위험도도 3배가량 증가
혈관성 치매는 ▲전략뇌경색 치매(한 번의 뇌경색으로도 인지기능에 심각한 장애가 생기는 경우) ▲다발경색 치매(여러 번의 뇌경색으로 인지기능이 단계적으로 손상, 장애를 일으키는 경우) ▲피질하혈관 치매(뇌졸중은 아니지만 작은 뇌혈관의 문제로 뇌피질 하단 부위가 손상되는 경우) ▲혼합형 혈관성 치매(알츠하이머와 병행해 발병되는 경우) 등으로 분류된다.


혈관성 치매의 진단을 위해선 증상의 양상과 인지기능의 이상소견, 뇌혈관 질환의 존재 여부 등을 확인해야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신경심리검사(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SNSB) 등의 검사를 통해 인지기능을 평가하고 MRI 등으로 뇌혈관 질환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혈관성 치매는 원인이 되는 뇌혈관 질환의 위치나 그 침범 정도에 따라 증상의 종류나 정도, 발생 시기 등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일례로 정신행동학적 증상으로는 시공간능력 파악 저하, 인지기능 저하, 기억력 감퇴, 언어능력 저하, 우울감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신경학적 증상으로는 감각의 저하 및 소실, 시야장애, 연하곤란, 안면마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혈관성 치매는 뇌졸중 나타난 후에 발병 위험도가 3배가량 높아진다고도 한다. 같은 이유로 혈관성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선 뇌졸중의 발병 위험인자를 조절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뇌졸중 예방이 곧 혈관성 치매 예방
혈관성 치매의 예방 전략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는 급성기 뇌졸중의 적절한 치료를 통해 신경 세포의 손상을 최소화 하는 것이고 둘째는 아스피린 등 항혈소판 제재로 뇌졸중의 재발을 방지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뇌졸중 위험인자의 철저한 조절로 신경세포 손상의 진행을 막거나 최소화 하는 전략이 있다.


이밖에 혈관성 치매의 증상을 개선하는 것과 질병 진행속도 완화를 위한 콜린분해효소 억제제를 사용하는 것도 혈관성 치매를 예방하는 전략이 된다.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서도 뇌졸중과 혈관성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 미국뇌졸중 학회가 지난해 발표한 ‘뇌졸중 예방 권고안’에 따르면 뇌졸중의 위험인자에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장병, 흡연, 음주,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 10가지 위험인자가 포함된다.


특히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뇌졸중 위험도가 약 2.6배 높은 것으로 알려졌고 신체 비만 지수가 1kg/m2 증가하면 뇌경색의 위험도가 11%가량 증가한다고 연구진은 설명한다.


음주는 하루 1~2잔 정도만 하는 것이 심뇌혈관 질환의 발생 가능성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대로 과도한 음주는 질병의 위험성을 높이므로 삼가는 것이 좋다.


예방법이 마땅치 않은 알츠하이머 치매와 달리 혈관성 치매는 명백한 위험인자와 예방법이 있다.


또 뇌졸중과 혈관성 치매는 분명한 인과 관계가 있어 뇌졸중의 예방이 곧 혈관성 치매를 예방하는 길이라고 볼 수 있다.


까닭에 이제부터라도 뇌졸중의 위험인자를 인식하고 뇌혈관 검진을 통해 뇌졸중을 미리 예방하는 게 향후 삶의 질을 높이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