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매매가격 3.5%, 전세가격 4.5% 상승 전망
[아시아경제 김민진 기자] 올해 활기를 띄었던 주택시장이 내년에는 거래와 공급, 가격측면에서 모두 상승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주택산업이 내년에도 여전히 경제 전반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됐다.
주택산업연구원은 2일 발표한 '2016년 주택시장 전망' 자료에서 이 같이 밝히고, 내년 3분기를 주택시장 최대의 변곡점으로 내다봤다.
김덕례 주산연 연구위원은 "내년 전국 매매가격은 3.5%, 전세가격은 4.5%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주택금융관련정책의 불확실성이 증폭되고 있어 담보인정비율(LTV)ㆍ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완화 종료 시점인 내년 3분기가 최대의 변곡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주산연에 따르면 올해의 경우 전국 매매가격은 4.0%, 전세가격은 5.0% 오를 것으로 추산된다.
김 연구위원은 "정부는 시장의 자율적 조정기능에 의한 주택시장 안정인지, 규제정책에 의한 주택시장 관리인지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골든타임의 한 해가 될 것이고, 선택 결과에 따라 주택시장 향방이 달라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올해 공급물량 증가에 대해서는 금융위기 이후 누적적으로 쌓여온 대기ㆍ보유물량, 올해 사업계획물량, 내년 계획물량의 조기공급이 일시적으로 몰린 현상으로 분석하고, 내년까지 지속될 수는 없다고 전망했다.
주산연에 따르면 내년 주택거래전망 BSI는 수도권 100, 지방 66으로 지방중심의 거래감소가 예상되며, 지방중심의 거래감소는 이미 지난 8월 이후 가시화되고 있다.
또 주산연은 주택시장의 5대 영향 변수로 전세, 공급, 가계부채, 대출규제, 금리 등을 꼽았다.
김 연구위원은 "이 중 영향력이 가장 큰 메가 변수로는 가계부채, 대출 규제, 금리 등을 포괄하는 '주택금융정책'으로 대외변수보다는 대내변수에 의한 시장변동이 커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 금리인상에 따라 내년 국내 기준금리 영향은 크지 않겠지만, 오히려 대출기관의 가산금리 인상에 의한 영향이 더 클 수 있다는 것이다.
주산연은 수도권 주택시장이 회복된 지 1년 남짓한 상황에서 주택소비 심리가 위축되면 올해 급증한 공급물량 소진이 어렵고, 내수 중심의 확장적 거시정책이 필요한 상황에서 경제적으로도 위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내년에는 정책당국이 인내력을 가지고 주택시장이 안정 궤도에 진입할 수 있도록 일관적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위원은 "올해 일시적으로 급증한 주택공급 물량은 시장의 자율조정 기능이 유지돼야 해소될 수 있다"면서 "2017년 본격화되는 입주시점에 국민들이 분양받은 신규주택으로 원활하게 주거 이동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게 올해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김민진 기자 ent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