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중부ㆍ영동고속도로 개선 新민자 '외상방식' 도입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중부ㆍ영동고속도로 개선 新민자 '외상방식' 도입 *자료 : 국토교통부
AD


중부ㆍ영동 186km 구간, 내달 30일 착공해 2017년 말 완공

[아시아경제 김민진 기자] 노후화 된 중부ㆍ영동고속도로를 보수하는 공사에 '외상공사' 형태의 민간투자방식이 도입된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는 평창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이들 도로의 전면 개선을 추진하는데 공사채 발행 대신 시공사에서 돈을 빌려 공사를 마무리한 후 이자만 지급하다가 일시상환하는 민자방식을 도입하기로 했다고 30일 밝혔다.

국토부는 다음달 1일 열릴 국무회의에서 민간자본을 활용한 첫 번째 안전개선 사업으로 고속도로 중부선 하남~호법 41km 구간과 영동선 여주~강릉 145km 구간을 전면 개선한다고 보고할 예정이다.


이 사업은 다음달 30일 착공해 평창올림픽(2018년 2월) 개최전인 2017년 12월말 마무리된다.


총 사업비 4553억원 중 공사비에 해당하는 2770억원(총 사업비의 60.8%)은 민간이 자체 조달한다. 국토부와 도로공사가 이 같은 방법을 택한 것은 도로 전체를 일시 개선해야 효과가 좋은데 사업비가 부족해 이를 만회하기 위해서다.


공사 중에 민간이 공사비, 도로공사가 자재비를 조달한다. 민간이 자체 자본으로 공사를 추진하면 도로공사는 투입된 공사비에 대한 이자를 지급하다가 준공 3년 후인 2020년 말 공사비 원금을 일시 지급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는 현재 2% 초반대인 도로공사 공사채 수준이 이자로 지급된다.


국토부와 도공 관계자는 "사업비 부담이 적고, 공사비 지급 시까지 자금 활용에 여유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며 "시급한 구간을 전면 개선해 규모가 커 수익성이 높고, 기업의 유보금 활용, 컨소시엄 구성 등 수주전략에 따라 사업성 확보가 가능해 민간에서도 참여에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공사는 최저가가 아닌 종합심사 낙찰제를 적용하다.


이번 사업은 중부선 1개 공구와 영동선 3개 공구 등 총 4개 공구로 나뉘어 있으며, 25개 건설사가 입찰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는 이번 사업으로 중부선, 영동선 사업구간 내 노후 포장, 구조물(교량 278개소, 터널 31개소), 가드레일 등의 안전시설이 전면 개선돼 사업구간의 교통사고 사상자가 35% 감소하고, 10년간 사고비용도 380억원 가량 절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민진 기자 ent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