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YS 본격 재평가 움직임…학계, 논문·연구자료 발간 착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정계에선 민추협 중심 사업 논의키로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22일 서거한 김영삼(YS) 전 대통령에 대한 재평가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상도동계 막내뻘인 정병국 새누리당 의원은 26일 아시아경제와의 통화에서 "알려지지 않았던 사실들이 YS 서거로 인해 밝혀지기도 했다"면서 "정치권 뿐 아니라 여러 관련 분야에서 YS의 공과를 되짚어보는 작업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적극적으로 관심을 보이는 쪽은 학계다. 김형준 명지대 인문교양학부 교수는 "개인적으로 정의화 국회의장을 만난 자리에서 김영삼ㆍ김대중 두 전직 대통령에 대한 동상을 국회에 건립하자고 제의하기도 했다"면서 "앞으로 관련 논문과 연구 자료를 많이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YS 빈소에서는 정치인들과 정치학자들이 삼삼오오 모여 YS연구와 관련해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다. 민주화 기여는 물론, 대통령 취임후 하나회 척결, 금융실명제, 역사바로세우기, 광주민주항쟁 재평가. 12ㆍ12사태 주역 단죄까지 전부 귀중한 성과라는 것이다.

학자들은 "정치사적인 입장에서 정확하게 평가해야 지금의 정치실종상황을 바로 잡을 수 있을 것"이라는 취지를 언급하면서 재평가에 적극 지지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학계가 먼저 YS 재평가에 나서는 데는 그동안 평가가 인색했다는 자기반성에서 비롯됐다는 견해가 많다.


강원택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는 "YS와 관련된 서적이나 연구자료는 경제학자들이 쓴 외환위기가 전부"라면서 "정치사적인 측면에서는 제대로 된 책이나 논문이 없을 정도로 심각하다"고 말했다.


외환위기를 일으킨 정권이라는 멍에로 인해 YS를 다각도로 조명하는데 소홀했다는 것이다. 김형준 교수는 "학계에서 그동안 YS 언급을 피했던 것"이라며 "어찌보면 비겁했다"고 시인했다.


정치만큼은 아니지만 경제분야에 대한 재평가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김 전 대통령 재임중 경제부총리를 역임한 홍재형 전 국회부의장은 "1997년이 가장 중요한 시기였다"면서 "외환위기 직전 어떤 보고가 올라가고 어떻게 대처했는지를 기록을 통해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홍 전 부의장은 경제부총리에서 물러난 후인 1997년 외환위기 직전 YS에게 전화를 걸어 외환보유의 심각성을 전한 장본인이다.


정치권에서는 과거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를 구성한 상도동계와 동교동계를 중심으로 재평가 추진을 준비하고 있다. 오는 30일 송년회에서 기념사업 등 관련 논의가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정병국 의원은 "어떤 일을 할지는 아직 구체적으로 논의하지 않았다"면서도 "송년회에서 일단 만날 계획은 있다"고 말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도 "YS의 나라를 위한 헌신과 노고, 업적들이 제대로 읽혀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