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주열 "印 높은 성장세 투자규제 철폐가 기여"(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이주열 "印 높은 성장세 투자규제 철폐가 기여"(종합) -
AD


[아시아경제 구채은 기자]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가 25일 "인도경제의 높은 성장세의 배경에는 과감한 투자규제의 철폐가 기여하고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정부는 투자환경을 개선하고 기업은 기술경쟁력을 확보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 본관에서 연 경제동향간담회에서 "모디정부가 작년 5월 집권한 이후 1년새 외국인직접투자(FDI)가 27%나 늘었다. 같은 기간 세계 전체 FDI는 두자릿수로 줄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특히 피셔 부의장이 인도가 중국경제를 대체할 새로운 성장엔진으로 보고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중국과 관련해서는 "중국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R&D)투자 등을 통해 기술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며 투자환경 개선을 통해 이를 뒷받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또 샌프란시스코 연준의 발표 내용을 인용, 아시아경제가 부진한 이유로 ▲글로벌 수요 부진, ▲글로벌 분업체계 성숙에 따른 세계교역 신장세 둔화, ▲아시아 신흥국 경제구조 고도화에 따른 성장률 하락, ▲인구구조 변화 등 네가지가 꼽힌다고 언급했다.


이 총재는 "이같은 분석은 아시아 신흥국들이 처한 현실을 함축적으로 잘 나타내고 있는데 우리경제는 중국과 연계성이 상대적으로 높아 중국경제의 구조전환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을 수밖에 없다"면서 "중국 경제의 리스크는 우리나라에 중·장기적으로 큰 과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선 김세직 서울대교수, 김주섭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박해식 한국금융연구원 국제금융연구실장, 유창범 BoA메릴린치 서울지점 대표, 이만종 고려대 교수, 정인석 다이와증권 전무가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이날 간담회에서 미국 금리인상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했다. 금리 인상이 완만한 속도로 진행돼 우리 경제에 직접적인 충격을 주진 않겠지만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 간접효과가 있을 수 있으니 이를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구조개혁에 대한 공감대도 나눴다. 고령화로 지금과 같은 연공서열 위주의 임금과 인사고과 체계는 지속하기 어려우니 직무와 성과 중심 체제로 이행해야 한다는 견해도 나왔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