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업 사회공헌 트렌드? 업(業) 특성 살리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최근 기업들의 사회공헌 트렌드는 해당 기업의 핵심가치와 특성에 연관성이 높은 분야를 발굴해 기업이 가장 잘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지원하는 '업(業) 특성을 살린 사회공헌'으로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5일 발간한 '2015년 주요 기업·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에 따르면, 주요 기업들은 올해 사회공헌 사업계획을 세울 때 업(業) 특성을 살린 사회공헌, 공유가치창출(CSV) 등 새로운 사회공헌 방식의 도입(60%)을 가장 많이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자신만의 특색을 살린 기업 사회공헌활동으로는 임직원의 전문지식이나 경험을 활용하여 기업별 전문성을 살린 프로보노형 프로그램이 많았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저소득층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임직원이 참여해 건설업 직업체험 교육을 실시하는 '주니어 건설아카데미'를 운영하고, SK는 임직원들이 사회적기업, 소셜벤처 등에 회계, 마케팅, 계약검토 등 경영을 자문하는 '프로보노 봉사단'을 운영 중이다. 또 한국 타이어의 'H-Safety 드라이빙 스쿨', 아시아나의 '색동나래 교실', CJ 푸드빌의 '꿈은 이루어진다' 등이 업의 특성과 연계한 사회공헌 프로그램으로 꼽힌다.


자신이 보유한 시설이나 자산을 활용해 대중에게 다가가는 기업들도 있다. 어린이들의 교통사고 발생비율을 줄이기 위해 체험 중심의 교통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현대자동차의 키즈오토파크, 7세부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과학의 원리를 쉽게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LG 사이언스홀 등이 대표적 사례다. 또한 롯데, GS 등 홈쇼핑 기업들은 중소기업유통센터와 연계해 중소기업제품의 홈쇼핑 무료방송을 지원하고 있다.


기업들의 사회공헌 영역이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면서 해당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외부기관과의 협업에 대한 기업들의 요구도 크다. 실제 많은 기업들이 대표 사회공헌 프로그램의 파트너로 전문성을 갖춘 민간 비영리 단체(NPO, 응답률 47.7%)를 선택하고 있는 가운데, 기업 특성에 맞는 사업 추진이 어려워(39.2%) 파트너십 추진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의견 역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관련,이용우 전경련 사회본부장은 "사회공헌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기업들의 선택과 집중을 통한 차별화가 기업별 개성 살리기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