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국방장관 안보협의회서 "어떤 형태의 北도발도 용인안해"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계획' 서명…사드 논의는 안해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한민구 국방부 장관과 애슈턴 카터 미국 국방장관은 2일 "어떤 형태의 북한 침략이나 도발을 용인하지 않겠다"는 데 합의하고 한반도 유사시 북한의 핵과 미사일을 파괴하는 '4D 작전계획' 수립을 공식 천명했다.
양국 국방장관은 또 조건에 기초한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계획에도 서명했다. 다만 양 장관은 민감한 분야인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문제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양국 국방장관은 2일 서울 국방부에서 열린 제47차 한미안보협의회(SCM) 회의를 하고 그 결과를 반영한 16개 항의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이 성명에 따르면 양국 장관은 핵과 생화학 탄두를 포함한 북한 미사일 위협을 탐지, 교란, 파괴, 방어하기 위한 '동맹의 포괄적 미사일 대응작전 개념 및 원칙(4D 작전개념)의 이행지침'을 승인했다.
이 지침에는 4D 작전계획과 연습계획 등을 앞으로 어떻게 발전시켜 나갈지를 담은 것으로 알려졌다. 4D 작전계획은 한미연합사령부의 '작계 5027'을 대신해 새로 만든 '작계 5015'에 반영될 것으로 알려졌다.
4D는 탄도미사일이나 핵탄두를 탑재한 탄도미사일의 탐지(Detect), 교란(Disrupt), 파괴(Destroy), 방어(Defense)의 영문 첫 글자를 조합한 것이다.
이는 군사위성과 고고도 무인정찰기(글로벌호크) 등 감시·정찰(ISR) 자산을 통해 북한의 핵·미사일기지 움직임을 정밀 감시하고 한미 군의 정밀타격 무기로 유사시 파괴하는 개념까지 담고 있다. 지상 발사대와 이동식 발사대(TEL), 잠수함 탄도미사일(SLBM)까지 타격 대상에 포함된다.
아울러 양국 국방장관은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계획'도 승인하고 서명했다. 이와 관련, 양국 장관은 '대(對)화력전 능력 공동 검증계획'의 완성을 평가하면서 한국군 대화력전 능력의 검증이 완료될 때까지 주한미군의 대화력전 수행 전력을 한강 이북의 현위치에 유지할 것임을 재확인했다.
이 검증이 완료되면 주한미군의 대화력전 수행 전력은 평택의 캠프 험프리 기지로 이전한다.
한 장관은 개전 초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한국군의 대화력전 능력을 2020년께까지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임을 확인했다. 이 시기에 주한미군 대화력전 수행 전력인 210화력여단이 이전할 것으로 관측된다.
양국 장관은 또 우주 역량에 대한 임무 보장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이를 위해 우주 상황인식, TTX(운용연습)을 포함한 연습과 우주 운영자 훈련에 대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양국 군은 사이버영역의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동맹의 능력 강화 차원에서 공동사이버 훈련과 연습, 사이버 군사교육을 강화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번 회의를 준비하면서 미국 측은 한국형 전투기(KF-X) 개발사업과 관련, 4개 핵심기술 이전문제는 미 정부의 '불가' 방침이 확고한 만큼 거론하지 말아 달라는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21개 기술이전 문제에 대해서는 계속 협의해 나가자는 견해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양국 장관은 한국 국방부·외교부와 미국 국방부·국무부가 공동 주관하고 관련 부처가 참여하는 전략적 수준의 '방산기술전략·협력체'(DTSCG)'를 신설해 방산기술 전략과 협력 의제를 협의하기로 합의했다.
관심을 끌었던 사드의 한반도 배치 문제에 대해서는 이번 회의에서 언급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미국은 생산된 사드가 사우디아라비아 등에 판매되어 물량이 없으며 사드를 운영할 훈련된 인력도 아직 없다고 말하고 있다"면서 "이런 상황 등을 고려해 아직은 공식적으로 말할 단계가 아니라는 입장인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