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카드 수수료 인하]수익 30% 까먹는 정부 칼…카드사는 '비명'(종합 2보)

시계아이콘01분 50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이현주 기자] 2일 정부와 여당이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 인하 방안을 발표한데 대해 카드업계는 수익이 급감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반면에 수익 감소를 상쇄할 대안은 마땅치 않다. 일각에서는 "표면적으로는 영세가맹점을 지원하는 정책이지만 결국은 내년 총선을 염두에 둔 포퓰리즘이 아니냐"는 볼멘소리도 내놓는다.


이번 수수료 인하로 가맹점의 카드 수수료 부담이 연간 6700억원 정도 줄어들 것으로 금융당국은 추정하고 있다. 이를 뒤집으면 카드사는 그만큼 수익이 줄어드는 것이다. 올해 상반기 전체 카드사의 당기순이익은 1조1000억원으로 하반기 순이익 추정치를 합치면 2조원가량이 될 전망이다. 카드사 입장에서는 이번 수수료율 인하 조치로 순익의 30% 정도가 사라지는 셈이다.

카드사 가맹점 수수료율 체계 개편은 3년마다 이뤄진다. 2012년 첫 개편 당시 연 매출 2억원 이하 영세 가맹점 수수료는 1.8%에서 1.5%로 줄었다. 기존 수수료의 6분의 1, 0.3%포인트 인하였지만 카드사는 직격탄을 맞았다. 2012년 9월부터 인하된 가맹점 수수료율이 적용되면서 그해 수수료 수입은 전년 대비 1%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후 2013년 0%, 2014년 4.4%로 증가세가 둔화됐다. 체계 개편 이전 2011년엔 가맹점 수수료 수입이 21% 증가하며 해마다 큰 폭으로 성장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수수료율 인하로 순익이 줄어드는 효과는 바로 나타나지만 이를 상쇄하기 위한 효과는 더디게 드러난다"고 우려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미국 금리 인상도 예고돼 있다. 카드사는 카드채를 발행해 운용 자금을 조달하는데 저금리 기조에서는 낮은 금리로 자금을 마련할 수 있지만 금리가 오르면 그만큼 수익성이 떨어진다. 반면 금융당국은 카드채 금리가 2012년 6월 말 3.83%에서 지난 6월 말 2.10%로 1.73%포인트 인하되는 등 카드사에 좋은 여건이어서 수수료를 인하할 여력이 충분하다고 보고 있다.

◆카드사 내부 비용 절감 나서= 수수료 인하에 대한 카드업계의 대응 전략은 제한적이다. 당장 손을 댈 수 있는 것은 밴(VAN) 수수료다. 카드사들은 카드 결제 건당 지급하는 밴 수수료(평균 118원)를 금액에 따라 일정 비율로 지급하는 정률제로 변경하는 것을 추진 중이다. 밴 수수료는 카드사가 밴사에 지불하는 것으로 밴사는 카드 조회·승인, 매출 관련 전표 매입을 대행한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건당 지불하는 밴 수수료를 일정한 금액으로 범위를 정해서 지불하게 되면 밴 수수료 부담은 조금 줄어들 수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다"고 말했다.



전표 매입 과정이 생략돼 밴 수수료를 내지 않아도 되는 무서명 거래도 확대할 방침이다. 무서명 거래는 별다른 절차 없이 카드사가 가맹점에 통지하는 것만으로도 가능하다. 무서명 거래는 카드 결제 시 서명을 하지 않기 때문에 카드사가 밴사로부터 따로 전표 매입을 하지 않아도 된다. 현행 감독규정에는 5만원 이하까지만 무서명 거래를 실시하고 있는데 카드업계는 이를 10만원까지 확대해달라고 건의하고 있다.


◆신사업 확대, 현실적으로 어려워= 카드사들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는 것도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아직까지 금융감독원에 부수 업무를 하겠다고 신고한 카드사는 한 곳도 없다. 카드사들은 부수 업무가 '포지티브' 방식에서 불허하는 것을 제외하고 원칙적으로 다 허용하는 '네거티브' 방식으로 전환된 직후 신사업 검토를 적극 개진했지만 대부분 다른 업권이 이미 하고 있거나 중소기업적합업종과 겹쳐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카드사들은 카드 수수료 인하로 인한 피해가 고객에게 돌아갈 수 있다는 점도 지적한다. 수익이 줄어드는 만큼 각종 부가서비스 혜택을 축소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금융당국도 이번 체계 개편안을 발표하면서 부가서비스 의무 유지 기간을 현행 5년에서 단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업체별로 경영 효율화를 통한 자구노력을 하는 것 말고는 뾰족한 방법이 없다"고 하소연했다.



이현주 기자 ecolhj@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현주 기자 ecolhj@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