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몸집 키우는 항공사' 지각변동 예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4초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국내 항공운송업계에 지각변동이 예고되고 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신규 항공기를 대거 도입하고 저비용항공사(Low cost carrier, LCC) 중에서는 제주항공이 항공기 도입을 대폭 늘리면서 비약적 성장을 예고했다.

'몸집 키우는 항공사' 지각변동 예고 A380에 이어 대한항공의 명품서비스를 책임질 최신예 대형 항공기 B747-8I.
AD


◆대한항공 전용터미널에 새 비행기 띄운다= 2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10년 후 '세계 10위권 항공사 진입, 아시아 1등 항공사'를 목표로 항공기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현재 대한항공은 세계 항공사 15위. 대한항공 앞에는 싱가포르항공과 홍콩의 캐세이패시픽항공이 버티고 있다.


먼저 대한항공은 올해 총 19대의 신규 항공기를 들인데 이어 내년 17대, 2018년 4대 등 순차적으로 신규 항공기를 도입한다.

특히 대한항공은 지난 6월 보잉사와 B737 맥스-8기 총 50대(확정구매 30대, 옵션구매 20대), B777-300ER기 2대를 도입키로 결정했으며 에어버스사의 A321NEO 기종을 총 50대(확정구매 30대, 옵션구매 20대) 들이기로 했다. 현재 39대의 B737시리즈로 운행하고 있는 단거리 노선은 2019년부터 신규 항공기로 대거 교체되고 확대된다. B737 맥스-8, A321네오는 최신예 단거리 항공기로 동북아 및 동남아, 일부 대양주를 다닐 수 있는 항공기다.


미국, 유럽 등 장거리 노선은 A380 10대와 순차적으로 도입 중인 B747-8i 항공기로 세대교체가 이뤄진다.


또한 대한항공은 2018년 개장 예정인 인천국제공항 제 2 여객터미널을 전용 터미널로 사용하게 된다. 신규 항공기에 신규 여객터미널까지 확보하면서 '새로운(NEW) 대한항공' 시대가 열리는 셈이다.


여기에 대한항공이 삼성전자 소속 전용기를 인수키로 함에 따라 전용기 사업 확대가 예상된다. 또 캐나다 봄바르디어사가 제작 중인 CS300시리즈(130~150석)도 이르면 내년 말부터 인수해 국내선이나 단거리 국제선용으로 활용한다. 사업 포트폴리오가 점차 다양해지는 셈이다.

'몸집 키우는 항공사' 지각변동 예고 아시아나항공의 A380


◆아시아나의 도약과 제주항공의 성장= 제주항공의 성장 가도가 눈에 띤다.


먼저 제주항공은 2020년까지 항공기를 40대까지 늘린다. 다만 제주항공은 중장거리 노선을 다닐 수 있는 항공기 도입 계획(2018년)은 없다. 이에 중국ㆍ일본ㆍ동남아 등 아시안 60개 노선에서 공급력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중국, 일본, 베트남 등에 노선을 대거 확보하고 있는 아시아나항공에 위협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이다.


국내선의 경우 제주항공은 이미 아시아나를 위협할만한 수준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올 상반기간 제주항공은 1013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아시아나는 1484억원을 달성했다.


다음달 6일 상장하는 제주항공의 공모가 3만원으로 계산하면 제주항공의 시가총액은 7772억원에 달한다. 29일 현재 아시아나항공의 시가총액은 9745억원으로, 상장 후 제주항공의 주가 향방에 따라 제주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을 앞지를 수 있는 상황도 충분히 연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아시아나는 에어부산에 이은 두 번째 LCC인 에어서울의 첫 취항을 내년 2분기 계획하고 있다. 아시아나는 A321-200 5대를 에어서울로 보내, LCC와의 경쟁이 치열한 중국, 일본, 동남아 노선에 취항시킬 계획이다. 아시아나의 규모는 더욱 작아지지만, 에어서울에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득이다.


대신 아시아나는 최신예 항공기를 도입해, 에어서울 취항으로 전출된 항공기들을 채운다. 아시아나는 내후년부터 2025년까지 중대형 기종인 에어버스 350XWB 30대를, 2019년부터 2025년까지 중소형 기종인 에어버스 321-200 NEO 25대를 들인다.


한편 이같은 치열한 경쟁 속에 진에어는 올 연말부터 하와이 호놀룰루 노선에 취항한다. 진에어는 우리나라 LCC 중 유일하게 중장거리 기재인 B777-200ER를 운영하고 있다.


진에어의 취항으로 하와이 노선의 수요가 괌이나 사이판 처럼 확대된다면 진에어는 인도네시아 발리, 호주 등 다른 LCC가 취항하지 못하는 장거리 노선 취항도 고려할 수 있다.


대부분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혹은 해당 국가 국영항공사가 뜨고 있는 노선들로 LCC 최초 취항에 따른 수익 확대가 예상된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