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항체의약품’, 암과 류마티스 등 표적치료제 기술개발 활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표적치료제의 일환으로 항체의약품의 기술개발이 활기를 띄고 있다.


표적치료제는 질병조직을 구분해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치료제로 특정 부위의 치료효과를 증대,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또 이 같은 원리를 접목한 항체의약품은 질병을 유발하는 인체 내 표적물질에 결합, 이를 제거하는 치료기술로 만들어지며 대체로 암 질환과 류마티스 관절염 등 염증 질환의 치료목적으로 개발되는 추세다.


2일 특허청에 따르면 항체의약품과 관련된 국내 특허출원건수는 지난 201년 341건에서 이듬해 375건, 2012년 457건, 2013년 508건, 지난해 528건 등으로 꾸준히 증가(연편균 11.6%↑)하고 있다. 올해는 지난 9월을 기준으로 총 305건이 출원된 상태다.

항체의약품의 국적별 출원인 현황은 미국 37.5%, 한국 20.9%, 스위스 10%, 일본 8%, 독일 5.4% 등으로 집계된다.



우리나라에서 출원된 관련 특허기술은 삼성전자 56건, 서울대 32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29건, 한화케미칼 28건, 강원대 17건 등의 순으로 파악된다.


국외의 출원현황에선 제넨테크 191건, 로슈 126건, 에브비·애보트 86건, 암젠 71건, 노파르티스 52건 등으로 다(多) 출원됐다.


항체의약품은 생물 세포 또는 조직 등을 이용해 제조된 바이오(생물)의약품의 복제약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도 상당비중을 차지한다. 바이오시밀러는 사람 또는 이밖의 생물체에서 유래된 원(재)료로 생산하는 의약품 시장을 의미한다.


이미정 특허청 바이오심사과장은 “항체의약품 분야는 세계적으로 막대한 고부가가치를 기대할 수 있게 하는 경쟁력 있는 바이오의약품 분야로 손꼽힌다”며 “우리 기업들이 이 같은 흐름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 항체의약품의 연구·개발에 주력한다면 세계적 수준의 바이오기업으로 발돋움 하는 기회를 갖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