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구순의 치매 노모, 北아들 앞에 두고도 "이이는 누구야?"(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6초

구순의 치매 노모, 北아들 앞에 두고도 "이이는 누구야?"(종합) 제20차 이산가족 상봉행사 2회차 둘째날인 25일 오후 금강산호텔에서 열린 공동중식에서 북측 한송일(74)씨가 남측에서 온 어머니 이금석(93) 할머니의 식사를 돕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AD


[금강산=공동취재단·아시아경제 김동선 기자]치매에 걸린 구순의 노모는 꿈에도 그리던 북녘 아들을 눈 앞에 두고도 "이이는 누구야?"고 계속 물었다.

25일 금강산호텔에서 열린 제20차 남북 이산가족 상봉 2차 상봉단의 공동중식에서 남측 김월순(93) 할머니는 오찬 테이블 왼쪽에 앉은 북쪽 큰아들 주재은(72)씨를 보고서 또 "이이는 누구야?"라고 물었다. 김 할머니 오른쪽에 앉아있던 둘째 아들 주재희(71)씨는 "어머니 아들이라니까"라고 대신 답했다.


이날 오전 개별상봉에서 북쪽 큰아들 재은씨로부터 선물로 받은 연갈색 꽃무늬 스카프를 메고 자리에 앉은 김 할머니는 이번 상봉기간동안 장남의 얼굴을 보고 또 보았지만 정작 큰아들을 눈앞에 두고도 알아보지 못해 주변을 안타깝게 했다.

함경남도 갑산이 고향인 김 할머니는 1.4후퇴때 장남 재은씨를 친정에 놓고 둘째 재희씨만 데리고 남으로 내려왔다. 김 할머니는 "열흘만 있다 올게. 갔다올게"라고 하고 나갔다가 이후 큰아들과 영영 헤어졌다. 대구까지 피난을 갔던 김 할머니는 나중에 서울 용산에 터를 잡고 다섯 자녀를 더 낳아 남쪽에서 6남매를 키우면서 북녘에 두고온 큰아들을 65년동안 마음 속으로만 그려왔다.


김 할머니는 이날 상봉장에서 큰아들 주재은씨와 함께 나온 북쪽 손녀 주영란(46)씨를 보고서도 "이이가 이이(큰아들) 마누라야?"라고 물었다. 이에 손녀 영란씨는 "할머니, 제가 큰손녀에요"라고 답했다.


김 할머니는 둘째아들 주재희씨가 다시 형님 딸이라고 말하자 그제서야 정신이 돌아온듯 박수를 치면서 "죽기 전에 보고 가는구먼"이라고 입을 뗐다. 북쪽 큰아들 주재은씨는 "어머니 내가 맏아들"이라고 다시 확인해줬다. 이를 지켜보던 가족들은 눈물을 흘릴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김 할머니는 큰아들 얼굴을 어루만지면서도 "왜 안왔어?"라고 말했다. 큰아들 재은씨는 그저 멎쩍은 웃음으로 답했다.


둘째아들 주재희씨는 이날 오전 개별상봉에서 "어머니가 정신이 잠깐 돌아왔었는데 잡으시며 우시더라"며 "(어머니가) 왜 여태 나를 안 찾아왔느냐면서 우시다가 그러고선 바로 '누구냐'고 하시는데 진짜 가슴이 그렇더라"고 말했다.


이날 공동중식에서 남북 이산가족들은 '아리랑'과 '고향의 봄', '우리의 소원은 통일' 등의 노래를 부르며 남측 가족을 만난 기쁨을 표현했다. 그러나 북측 가족들은 노래를 부르기 앞서 "이 자리를 만들어주신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동지께 감사합니다"고 말하는 것을 잊지 않는 등 상봉장 곳곳에 있는 보장성원들을 의식했다.


구순의 치매 노모, 北아들 앞에 두고도 "이이는 누구야?"(종합)


이날 오후4시30분(북측시간 오후4시)부터 열린 단체상봉에서 1972년 납북된 오대양호 선원 정건목(64)씨는 단체상봉장의 테이블에서 남측 어머니 이복순(88)씨가 들어올 때까지 자리에서 일어서서 앉을 줄 모르고 기다리기도 했다. 정씨는 두 여동생이 먼저 들어오자 "어머니는 왜 따로 오시느냐"고 물었다. 정씨의 어머니 이씨는 휠체어를 타고 다른 길로 입장했다.


어머니 이씨가 "오늘이 마지막이라 아쉽지?"라고 말하자 건목씨는 어머니 건강을 챙기며 "피곤하지 않아요? 물 좋고 공기 좋은 금강산인데 앓지 말아요"라고 말했다. 정씨의 남측 누나 정매씨는 한참 동안 천정만 바라보며 한숨을 쉬다가 "(내일 아침 작별)그런 거 생각하면 걱정이 태산같다"고 말했다.


단체상봉장 다른 테이블의 북쪽 조카 윤학철(56)씨는 남측 이모 한원자(92)씨의 손을 잡고 "이제 언제 만나나요. 통일 돼서 만나겠네요. 분통이 터집니다. 같은 집안인데 정말 가슴이 아픕니다. 이제 언제 다시 볼까"라고 되네였다. 윤씨는 상봉 현장을 취재하던 기자를 향해 "조국 통일을 위해 힘써 주세요"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날 마지막 일정인 단체상봉에는 이번 이산상봉의 최고령자 중 한 명인 남측 이석주(98) 할아버지가 건강 문제로 단체상봉에 참석하지 못했다. 이 할아버지는 딸 이경숙(57)씨와 함께 내일 작별상봉에 참석하기 위해 쉬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남측 이승국(96) 할아버지의 처남처인 북측 김정옥(86)씨도 허리가 좋지않아 단체상봉에 불참했다.


한편, 우리측 90가족 254명과 북측 가족 188명 등 2차 상봉단은 내일(26일) 오전9시30분(북측시간 오전9시)부터 2시간동안 이번 제20차 이산가족 상봉의 마지막 일정인 작별상봉을 하고 다시 기약없는 이별을 하게 된다.




김동선 기자 matthe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