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靑에 제동 당한 김무성…'제2의 유승민'되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靑에 제동 당한 김무성…'제2의 유승민'되나
AD

[아시아경제 성기호 기자]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와 지난 28일 잠정 합의한 '안심번호 국민공천제'에 대해 청와대가 "우려스러운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라고 정면 비판하면서 김 대표의 행보에 제동을 걸었다. 청와대의 강경대응에 유승민 전 원내대표의 사퇴에 이어 제2의 당청갈등으로 번질 조짐마저 감지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30일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국민공천제가 굉장히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지는 상황에서 우려할 점을 얘기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라며 민심왜곡, 조직선거, 세금공천 등을 조목조목 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같은 청와대의 강경대응은 김 대표의 발언이 원인이라는 시각이 제기되고 있다. 이날 아침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춘추관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여야 대표의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도입 합의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정치권에서 논의 중인 사안에 대해 청와대에서는 언급하지 않겠다"며 논평을 삼갔다.


하지만 김 대표가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서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도입을 골자로 한 여야 대표의 잠정 합의에 반발하는 기류에 대해 "단순한 기법상 문제이기 때문에 청와대와 상의할 일도 아니다"라는 발언이 전해지자 상황이 급변했다.

또 청와대의 이 같은 비판은 이날 오후 새누리당 의원총회를 앞두고 여론을 선점하기 위한 의도로 해석된다. 이날 의원총회에서는 여야 대표가 잠정합의한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등에 대한 당내 의견 수렴이 있을 예정이다.


청와대의 이런 강경대응으로 정치권에서는 공무원연금법 개정안 처리 과정에서 유승민 원내대표 사퇴와 국회법 파동 등으로 야기됐던 당청 갈등이 재현되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안심번호 국민공천제'가 사실상 김 대표가 추진하고 있는 오픈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제)의 연장선상에 있고, 친박계(친박근혜계)가 주장하는 전략공천과 정면으로 배치돼 내년 총선을 앞두고 공천권 행사를 위한 주도권 다툼으로 번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 청와대에서는 노동개혁 등 각종 개혁 현안이 산적한 상황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뉴욕 순방 기간 동안 김 대표가 적절한 의견 수렴 없이 공천 관련 사항을 야당과 잠정 합의한 것에 대해 불쾌한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성기호 기자 kihoyey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