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회 연구용역 결과...서윤기 시의원 대표 발의, 종합 대책 마련 조례 제정 나서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오는 2035년이면 서울의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의 비율이 30%를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집 건너 한 집은 혼자 사는 셈이다. 또 1인 가구의 대다수가 경제적 빈곤과 주거 불안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서울시의회에서 종합적인 대책 마련을 위한 조례가 발의됐다.
14일 서울시의회가 서울연구원에 의뢰해 작성한 '서울시 1인가구 대책 정책 연구'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현재 서울 거주 1인 가구는 약 98만 가구로 전체의 27%를 차지하고 있다. 네 집 건너 한 집 꼴로 혼자 사는 집인 셈이다. 보고서는 특히 1인 가구가 꾸준히 늘어나 2030년에는 30.11%, 2035년에는 30.76%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문제는 1인 가구의 대다수가 경제적 빈곤과 주거에 대한 불안에 시달리고 있다는 것이다. 올해 기준으로 서울 시내 1인 가구의 49.9%가 월평균 소득 93만원에 그쳤다. 72.5%는 자동차도 갖지 않고 있고, 67%는 사회 활동을 전혀 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가활동은 주로 TV 또는 비디오 시청(전체 평균 38.7%)에 그쳤다.
연령대 별로는 청년층(19~39세)이 51.7%로 가장 많았다. 20~29세에서는 여성이 가장 많으며, 자치구별로는 관악구 8만4000가구로 가장 많이 살았다. 이어 강남구 5만900 가구 순이었다. 거주형태를 보면 단독주택이 51%이며, 전ㆍ월세가 82%를 차지하고 있다.
여성 1인가구는 서울 전체 가구 중 12.6%로 미혼인 경우가 52.8%이며, 강남구(17.4%)로 가장 많으며, 그다음 관악구(17.4%)로 순이다. 반면 고령 1인가구의 70%는 여성으로 구로구(27%)가 가장 높고 그 다음 중구(26.9%) 순이며, 고령 1인가구 61%가 자가거주 하는걸로 나타났다.
'왜 혼자 사는가'에 질문에 응답자 51.5%가 "직장과의 거리" 때문이며, '현재의 주요관심사'는 "경제관련 문제"라고 61.4%가 응답했다.
또 응답자들은 1인 가구에게 필요한 정책적ㆍ제도적 지원에 대해선 주택주거 부문은 범죄 예방 환경 시설 및 임대주택 리모델링 지원을 강화하고, 사회적 안전망 부문은 자살 예방 사업과 청년 주거안정 및 노인 일자리 창출ㆍ지원, 공유사회 지향 부문은 사회적 가족 만들기에 관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에 따라 서윤기 서울시의원은 최근 1인 가구를 위한 종합 대책이 담긴 5가지 조례 제ㆍ개정안을 발의했다. 서 의원은 노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종합 정책 수립ㆍ시행을 위한 '서울특별시 노인 일자리 창출ㆍ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안', 1인 가구를 위한 주거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서울특별시 주택조례 일부개정안', 재개발시 1인 가구 밀집 지역에는 범죄 예방을 위한 환경 설계를 의무화하는 '서울특별시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조례 일부개정안'을 각각 대표 발의했다. 또 1인 가구 자살 방지를 위한 '서울특별시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조례 일부개정안', 청년 1인 가구 지원을 위한 '서울특별시 청년 기본조례 일부개정안'도 발의해 처리 중이다.
서 의원은 "1인 가구 조례안은 올해 초 연구용역 진행 및 정책박람회 등을 통해 1인 가구의 문제점과 개선책, 1인 가구의 목소리 등을 조례에 반영"한 것이라며 "서울시가 1인 가구에 대한 시책을 종합적이고 계획적으로 추진하여 사회적 가족도시로 거듭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