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차이 지엔뽀 中 UPI 총재 "중국에서도 삼성페이 쓸 수 있도록 할 것"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상하이(중국)=아시아경제 이현주 기자] "삼성페이를 중국에서도 쓸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유니온페이(UnionPayIntl)는 삼성과 제휴를 맺고 시스템을 개선 중에 있습니다. 알리페이는 새로운 경쟁잡니다. 온라인 시장에서만 성장하던 것이 오프라인까지 넘어오고 있는 상황이죠. 우리도 온라인 결제 시장을 놓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기술을 도입해 대응할 계획입니다."


지난달 31일 중국 상하이 푸동 유니온페이 본사에서 기자들과 만난 차이 지엔뽀 UPI총재는 "삼성페이는 하나의 모바일 지불 결제 수단으로 협력의 관계를 맺고 있으며 곧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고 말했다. 차이 총재는 "알리페이의 경우 처음엔 인터넷 결제와 B2B 업무를 주로 했지만 450조에 달하는 중국 오프라인 시장을 침범하고 있다"며 "그럼에도 유니온페이는 발행사, 딜러, 가맹점, 매입사 등 4자가 함께하는 개방형 모델을 추구하기 때문에 더 많은 지지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UPI는 2012년 설립된 중국 유니온페이(CUP)의 국제 업무 전담 자회사다. 2002년 중국 금융당국은 중국 내 상업은행에서 발행되는 카드를 은행 및 지역 간 상호 이용이 가능한 카드사를 설립했으며 국제 업무를 전담하는 UPI를 2012년 다시 만들었다. 현재 150여개 국가에 UPI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축돼 있으며 2500만개의 가맹점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UPI의 가장 큰 특징은 다른 글로벌 카드 브랜드와 달리 멤버십 제도를 통한 개방형 플랫폼을 추구한다는 점이다. UPI는 브랜드만 제공하고 나머지는 국내 카드사를 통해 결제 서비스를 추진하기 때문에 이익도 함께 나눈다. 국내에서는 2005년 BC카드와 가장 먼저 제휴를 맺었으며 관련 매입업무를 10년째 담당하고 있다.


UPI는 최근 신용카드는 물론 스마트폰으로도 간편결제가 가능한 '퀵패스(QuickPass)'를 도입했다. 퀵패스는 근거리무선통신(NFC)를 이용해 결제를 진행한다. 전용 단말기에 갖다 대면 바로 결제로 이어지는 서비스다. 현재 중국 내 절반에 가까운 600만개 가맹점에 단말기가 설치 돼 있다. 퀵패스는 중국은 물론 전용 단말기가 설치된 홍콩, 마카오, 대만, 호주 UPI 가맹점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국내엔 동대문 두산타워 쇼핑몰과 8000여개의 GS25편의점에서 이용할 수 있다. 퀵패스 전용 카드를 스마트폰에 내려 받았다면 국내는 물론 중국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UPI가 설치한 NFC 단말기의 경우 향후 삼성전자에서 출시한 삼성페이와도 연동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차이 총재는 "유니온페이 카드 스마트폰 결제 이용자가 2억명을 넘었다"며 "지난 5월에는 웨어러블(wearable) 지급결제 수단을 출시해 사용 방법을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상하이에 거주하고 있는 회사원 천량(여·21)씨는 "슈퍼나 가까운 거리에 쇼핑을 할 때는 퀵패스로 대부분 결제를 하는데 거의 80% 이상 사용하는 것 같다"며 "소액결제를 할 땐 비밀번호 입력을 하지 않아도 돼 편리하다"고 말했다.


UPI의 강점 중 하나는 신용카드 위·변조(fraud)사고 비율이 매우 낮다는 것이다. 지난해 중국에서 발급된 유니온페이 카드의 위변조 사고 비율은 0.12%로 아시아태평양 지역 마스터카드의 발생률 0.63%보다 5배 가까이 낮았다. 차이 지엔뽀 총재는 "유니온페이는 카드를 사용할 때 서명대신 비밀번호인 핀코드를 입력하는데 6자리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노출의 위험이 낮다"면서 "공안과 연계돼 있어 카드 위조와 같은 사건 적발시 상당히 엄격하게 처벌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후발주자로써 낮은 인지도 개선을 위해 UPI는 브랜드 차별화에 주력할 계획이다. '플래티넘', '다이아몬드' 등 고급화 한 카드를 발급하고 카드를 많이 쓰는 VIP회원들을 위한 특별 혜택 등도 마련 중에 있다. 차이 총재는 "중국 관영 통신사 신화와 제휴해 '은련 신화 지수'라는 것을 매달 발표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마케팅이나 내부 업무 개선에 활용하고 있다"며 "스포츠나 문화 공연 행사에 적극적인 후원 제휴사로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상하이(중국)=이현주 기자 ecolhj@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현주 기자 ecolhj@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