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경제난국, 서비스업 키워 돌파하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신세계, 롯데 등 유통업체들이 대규모 채용계획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다. 이들 기업의 채용규모는 유통 등 서비스업이 제조업보다 투자 규모 대비 고용유발계수가 높다는 걸 보여준다. 우리 경제의 최대 과제 중 하나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서비스업 육성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새삼 확인되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지난 1일 내년까지 2만명을 채용한다고 밝혔다. 롯데도 기존의 채용계획 외에 2018년까지 2만4000명을 신규채용할 예정이다. 기업들의 채용규모 산출 기준이 달라 정확한 비교는 어렵지만 대체로 이들 유통기업의 '일자리 창출 효율'은 제조업체에 비해 매우 높다. 올해 투자금액이 각각 7.5조원, 3.5조원인 롯데와 신세계의 채용 규모는 20조원 이상을 투자하는 삼성전자와 현대차보다 많거나 비슷하다.

서비스업종이 제조업보다 고용효과가 큰 것은 업종 특성에서 비롯된다. 제조업체들은 공장을 짓고 설비를 늘려도 많은 공정이 자동화돼 있고 생산기지의 해외이전이 많아 일자리를 만들어 낼 여지가 크지 않다. 반면 서비스업은 일일이 고객 응대를 해야 하기 때문에 투자가 곧 인력 고용으로 이어진다. 특히 '청년층 취업 절벽' 등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비스업을 키워야 한다는 사실이 더욱 분명해지고 있지만 서비스업 육성은 단지 일자리 창출 측면에서만 요구되는 건 아니다. 산업구조의 고도화, 내수 기반의 확충, 글로벌 경기 변동에 대한 경제의 내성(耐性) 제고 등을 위해서도 요청된다.


국내총생산(GDP)에서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부가가치 비중은 경제 선진국들이 70% 이상인 데 비해 우리나라는 60%(2013년 기준)가 채 안 된다. 우리의 서비스업이 낙후돼 있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새로운 활로 개척의 잠재력이 크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에 대해서는 우리 사회에 공감대가 폭넓게 형성돼 있다. 정부가 지난해 발표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도 보건ㆍ의료, 관광, 콘텐츠, 교육, 금융, 물류, 소프트웨어 등 '5대 유망서비스업' 육성을 위한 정책 과제가 포함됐었다. 그러나 정책 추진은 지지부진하다.

이런 상황이니 규제개혁 등을 통한 서비스업 발전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높은 건 당연하다. 다만 그것이 일방적인 밀어붙이기여선 안 된다. 예컨대 서비스업 육성을 위해 정부가 마련한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의 '의료 영리화' 논란이나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을 둘러싼 '골목상권 보호' 공방은 충분한 논의와 합의가 전제돼야 한다. 서비스업을 키우기 위한 적극적이고도 건실한 논의를 기대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