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열흘 앞둔 美 금리인상…韓 경제 버틸 수 있을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2초

열흘 앞둔 美 금리인상…韓 경제 버틸 수 있을까? .
AD

[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오는 16~17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결정을 앞두고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된다. 경제전문가들은 미국이 금리를 인상할 경우, 한국에는 긍정적 영향보다 부정적 영향이 클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외환보유고 등 다른 신흥국에 비해 한국의 펀드멘털이 튼튼한 편이지만 신흥국 금융시장 불안이 전이될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하는 만큼 최악의 상황까지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美 금리인상 가능성은= 미국 연준이 9월에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조금 더 실린다. 이에 대한 신호도 여러 번 있었다. 지난달 29일 스탠리 피셔 연준 부의장은 미국 연례 경제정책회의에서 "물가상승률이 2%로 돌아갈 때까지 긴축을 기다릴 수 없다"며 금리인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에릭 로젠그런 보스턴 연방준비은행장도 지난 1일 "(금리인상 시기를) 몇 달 당기거나 미룬다고 해서 큰 차이는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는 "긴축 속도는 점진적일 것이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연방기금금리 인상 정도는 종전의 긴축주기보다 낮을 것"이라며 그 배경으로 중국·일본·유럽의 경기둔화, 세계 증시 변동성, 원자재 가격 하락 등을 꼽았다.


이처럼 '9월 금리 인상설'에 힘이 실리는 것은 미국의 경제지표가 양호한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수정치는 3.7%로 예상을 웃돌았다. 7월 실업률도 5.3%에 머물렀다. 경제가 살아나는 모습이 확인된 만큼 물가상승에 앞서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것이다.

지난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위원들 대부분이 9월 인상에 반대 의견을 보였고, 물가상승률이 연준의 목표치인 2%에 훨씬 못미치는 1.2%에 불과한 점을 들어 '아직은 때가 아니다'는 전망도 많다. 하지만 피셔 부의장의 발언 대로 물가에 큰 의미를 두지 않을 경우 금리인상 쪽으로 기울어질 가능성이 있다.


◆韓 금리인상 압박 커진다= 미국가 금리인상을 단행할 경우, 한국에 미치는 영향은 이중적이다. 미국 경제가 좋아졌다는 신호라는 점과 불확실성이 해소된다는 점은 한국 경제에 긍정적 요인이다. 하지만, 신흥국 자금유출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과 함께 국내 금리인상 압박은 불가피하다.


이른바 '긴축 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신흥국에 있는 외국인 자본이 투자수익률이 높은 미국으로 이동하게 되고, 신흥국 주식시장과 외환시장이 타격을 받게 되는 것이다. 2013년 벤 버냉키 전 연준 의장이 테이퍼링(양적완화의 단계적 축소)을 시사하자, 신흥국 자본이 일시에 빠져나가고 외환시장이 쇼크상태에 빠지기도 했다.


특히 외화보유액이 충분하지 않은 나라와 경상수지 적자인 나라가 위험하다. 대표적으로 아르헨티나, 러시아, 브라질, 인도네시아, 터키,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이 꼽힌다. 이들 국가 중 최근 저유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산유국은 경제난이 가중될 공산이 크다.


한국도 달러 유출이 증시하락과 원화가치 절하를 불러올 수밖에 없다. 국내 금리인상 압박도 커진다. 다만 한국 경제가 부진에 빠져 있어 당장은 통화당국이 저금리 기조를 유지할 수 있다. 신흥국 금융시장 불안은 실물경제에도 타격을 주게 되고, 이들 국가에 대한 수출도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가뜩이나 중국 경제 둔화 등으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 경제에는 엎친 데 덮친 격이 된다. 지난달 수출액은 393억25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4.7%나 감소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6년 만에 최대폭이다.


'중국리스크'가 더욱 증폭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최근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중국 주식시장에서 자본유출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미국의 금리인상은 이를 더욱 가속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정부가 위안화 평가절하와 주식시장 활성화 대책을 연이어 내놓고 있지만 중국 정부에 대한 신뢰가 떨어진 상황에서 자본유출을 얼마나 방어할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최악의 시나리오는 중국 금융시장과 부동산시장이 붕괴되고 지방정부의 과잉투자 문제가 표면화 되면서 경제위기가 촉발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세계 경제 전체가 침몰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국은 상대적으로 여유있는 외환보유고 등 다른 신흥국에 비해서는 버틸 힘이 있다는 게 중론이다. 8월말 현재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3679억4000만달러로 한 달 전에 비해 28억8000만달러 감소해 2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지만 세계 6위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발 경제위기가 현실이 될 경우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가 세계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을 것이라는 점은 부정하기 어렵다.




세종=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