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퀄컴, 인지컴퓨팅 활용 모바일 악성코드 탐지 기술 선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8초

'스마트 프로텍트(Smart Protect)'…실시간 기기 행동 분석
스냅드래곤 820 프로세서에서 높은 보안성과 악성코드 탐지 기능 제공


[아시아경제 김유리 기자] 퀄컴의 자회사 퀄컴 테크놀로지는 네트워크를 거치지 않고 모바일 디바이스상에서 구현되는 실시간 온디바이스(on-device) 머신러닝 시스템 아키텍처로 설계된 퀄컴 스냅드래곤 '스마트 프로텍트'를 1일 선보였다. 이를 통해 퀄컴의 자사의 모바일 환경 보안 기술 리더쉽을 더욱 강화한다는 설명이다.

퀄컴 스냅드래곤 스마트 프로텍트는 악성코드의 제로 데이(zero-day) 위협을 실시간으로 감지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기기의 보안성을 높이는 기능을 제공한다.


스마트 프로텍트는 퀄컴 제로스 인지컴퓨팅 플랫폼을 보안 분야에 활용한 최초의 기술로, 기존의 악성코드 방지 앱을 보완해 실시간 멀웨어 탐지, 분류 및 원인 분석 기능을 지원하는 보안 기술이다. 곧 선보일 예정인 스냅드래곤 820 프로세서에 탑재되는 스마트 프로텍트의 행동분석엔진과 첨단 API는 인지컴퓨팅, 하드웨어 기반 보안 및 스냅드래곤 프로세서의 광범위한 최적화와 행동 특성을 활용해 탁월한 성능을 제공한다.

아사프 아쉬캔나지 퀄컴 제품관리 이사는 "커넥티드 디바이스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 손실과 악성코드의 출현 또한 늘어나고 있다"며 "퀄컴은 전체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스택을 살펴볼 수 있는 독보적인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스마트 프로텍트는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저전력 온디바이스 (네트워크가 아닌 모바일 기기상에서의) 모니터링을 통해 거의 즉각적인 알림을 제공한다는 설명이다.


스마트 프로텍트 솔루션은 최적화된 첨단 스냅드래곤 820 하드웨어와 제로스 인지컴퓨팅 기술의 결합을 통해 더욱 안정적이고 직관적인 형태의 모바일 보안을 제공한다. 스마트 프로텍트를 활용하면 전자서명에 기반한 악성코드 방지 앱을 보안해 모바일 기기가 스파이웨어, 랜섬웨어, 애드웨어 또는 기타 악성 행동 코드에 노출됐는지를 실시간 행동기반 머신러닝을 통해 오류 없이 높은 정확도로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프라이버시 유출에 대한 우려를 줄이고 개인 정보를 보다 투명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조사들과 모바일 악성코드 방지 앱 업체들은 스마트 프로텍트 API를 활용해 필요한 때에 분석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특정 앱의 처리과정이나 행동이 어떠한 이유로 비정상으로 분류됐는지 알 수 있다.


스마트 프로텍트 기술은 하드웨어에 기반하고 있으며, 안드로이드와 같은 운영체제(HLOS) 자체가 손상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스마트 프로텍트의 핵심 요소를 안전하게 보호해주는 퀄컴 시큐어MSM 기술을 활용한다. 애플리케이션 관찰 및 분석을 클라우드가 아닌 기기 상에서 직접 실행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접속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즉각적인 탐지가 가능하다.


스마트 프로텍트는 내년 상반기 중에 스냅드래곤 820 프로세서와 더불어 선보일 예정이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