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노트5 57만·S6엣지+ 61만, 고가폰 '겸손해진' 까닭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갤노트5·S6엣지+, 프리미엄 공식 깨고 20일 출시
출고가↓·지원금↑…하반기 대화면폰 시장 선점 전략


노트5 57만·S6엣지+ 61만, 고가폰 '겸손해진' 까닭은 갤럭시노트5, 갤럭시S6 엣지+
AD

[아시아경제 권용민 기자] 갤럭시노트5 57만2000원. 갤럭시S6엣지+ 61만1700원.


20일 삼성전자의 신제품 갤럭시노트5와 갤럭시S6엣지+가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공식을 깨고 이동통신3사를 통해 출시됐다. 예상보다 낮은 출고가에 30만원에 육박하는 지원금이 책정됐다는 점에서 초반 가입자 몰이에 성공할 수 있을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날 이통3사가 홈페이지를 통해 공시한 지원금을 보면 출고가 89만9800원의 갤럭시노트5(32GB)와 93만9400원의 갤럭시S6엣지플러스(32GB)의 최고 지원금은 28만5000원(LG유플러스, 10만원대 요금제 기준)다.


공시지원금의 15% 유통점 추가 지원금을 감안하면 갤럭시노트5는 57만2000원, 갤럭시S6 엣지+는 61만1700원에 구매할 수 있다.


KT도 같은 조건으로 28만1000원의 지원금을 공시했다. 갤럭시노트5는 57만6700원, 갤럭시S6엣지는 61만6300원에 구매 가능하다. SK텔레콤은 24만8000원을 지원한다. 이에 따라 갤럭시노트5 최저 판매가는 61만4600원이며, 갤럭시S6 엣지플러스는 65만4200원이다.


월정액 5만~6만원의 요금제에는 13만~17만원의 지원금이 실린다. KT는 17만원을 지급해 중가요금제 구간에서 가장 높은 지원금을 준다. LG유플러스는 16만8000원, SK텔레콤은 13만7000원을 공시했다.


프리미엄 휴대폰은 통상적으로 출시 초기에는 비교적 높지 않은 지원금이 책정된다. 프리미엄 이미지를 훼손할 수 있는 데다 이통사 입장에서도 지원금 외에 다른 마케팅 활동을 병행해야 한다는 점에서다. 갤럭시S6의 경우에도 지난 4월 출시 초기 10만~20만원 정도로 낮게 책정했다가 2주 후 상향 조정됐다.


이번 갤럭시노트5·S6엣지+의 저가화는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이 위축된 가운데 하반기 대화면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스마트폰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이용자들이 고가 스마트폰에 대한 선호도가 떨어진 데다 곧 경쟁사 제품 출시가 이어진다. 지원금을 두고 득실을 따지기 보다 무조건 많이 팔아야 하는 전술이 필요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갤럭시S6나 갤럭시노트4 등 기존 주력 스마트폰에 대한 지원금 수준이 낮아진 것도 수요를 신제품에 집중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며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5를 예년보다 한 달이나 빠르게 출시한 것도 아이폰6S 출시 전까지 초반 흥행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권용민 기자 festy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