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재민 경기본부장 "프로농구 위기? 뼈를 깎겠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심판 트라이아웃·단신 용병 등 도입
승부조작·무사안일 코트에 개혁바람

이재민 경기본부장 "프로농구 위기? 뼈를 깎겠소" 이재민 신임 KBL 경기본부장 [사진=KBL 제공]
AD


[아시아경제 김세영 기자] 한국농구연맹(KBL)은 지난 6월 10일 조직을 크게 개편하면서 이재민(55) 전 사무총장을 경기본부장에 선임했다. 이 시기를 전후해서 프로농구계는 혼란스럽기 짝이 없었다. 특히 현역 프로농구 감독이 승부조작과 불법베팅 혐의로 경찰의 조사를 받는 최악의 추문이 덮치기도 했다.

이 본부장이 취임할 무렵에는 농구계 안팎에 위기감이 팽배하고 일각에서는 자성의 목소리가 높았다. 이 본부장은 산적한 과제와 싸워야 했다. 지난 18일 본지와 인터뷰를 하면서 그는 "사건 사고 처리도 하고, 시즌 들어가기 전, 규칙이나 규정도 손볼 것이 많다. 훈련이나 교육도 있어 더 바쁘다"며 혀를 내둘렀다.


이 본부장은 경기인 출신이다. 월계초등학교와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를 졸업하고 경복고등학교 2학년 때 농구부에 들어갔다. 연세대학교에 스카우트됐으나 2학년 때 농구를 그만두고 공부를 시작했다. 졸업 후에는 미국으로 유학해 샌디에이고 얼라이언트대학교에서 경영학을 전공한 다음 스위스 크레딧은행과 영국투자은행에서 6년간 일했다.

그는 1996년 KBL이 출범할 때 공채로 입사했다. 홍보마케팅 팀장, 기획팀 팀장 등을 거쳤다. 농구협회 국제이사를 거쳐 KBL 사무총장을 지냈다. 그는 경기 내부 사정부터 외부에서 보는 다양한 시각까지 두루 갖춘 농구통이다. 변화를 주도해야 하는 입장에서 확실한 문제의식도 갖고 있다. 그는 "최근에 불미스러운 일이 많았다. 책임감이 더 생기더라"고 했다.


"그간 팬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지만, 사실 밖에 나가 지난 시즌 어느 팀이 우승했냐고 물으면 아무도 모른다. 농구 쪽 사람들끼리는 양동근(34·울산 모비스)을 스타로 여기지만, 요즘 학생들 중에 그를 모르는 친구들이 더 많다. 농구하는 사람들끼리만 안에서 서로 '맞네, 틀리네' 할 동안 농구 인기는 조금씩 식어갔다."


모든 프로스포츠가 마찬가지지만, 문제없이 끝나는 경기는 없다. 그래서 이 본부장은 "기본에 더 충실해야 한다. 팬들이 즐길 수 있는 좋은 환경을 만들면 된다"라고 강조한다. KBL은 다가올 2015-16시즌을 앞두고 변화를 예고했다. 최근 심판 트라이아웃과 객원심판제도를 통해 공정성 높이는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가드 포지션의 외국인 선수 도입으로 프로농구에 색다른 변화를 주려 한다. 모두가 KBL이 추구하는 변화의 일부분이다.


"경기 내적인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주려 한다. 농구는 지난 20여 년간 똑같은 팀과 똑같은 선수들에 별다를 것이 없었다. 규칙을 집행하는 사람들은 제도가 바뀌는 것에 대해 부담스러워 한다. 하지만, 보는 사람들 입장에서 생각한다면 매끄럽게 경기를 운영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다른 선진 리그들도 다 과정이 있었다. 우리는 지금 그 변화의 시점에 와 있다."




김세영 기자 ksy123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