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내기업 87% "통일되면 대북사업 추진할 것"

시계아이콘01분 40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대한상의 500개 기업 조사…北진출 관심지역은 '개성·해주'(42%)
희망사업 분야는 '북한 지하자원 개발'(28%), '전기·도로 등 SOC건설'(22%)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국내기업 10곳 중 8곳은 통일 후 대북사업을 추진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관심 가는 지역은 개성·해주 등 경기도 접경이었고 북한 지하자원 개발과 전기·도로 등 SOC 건설 사업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이 많았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내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남북통일 전망과 대응과제'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드러났다고 10일 밝혔다.


조사 결과 통일 후 대북사업 추진의향을 묻는 질문에 '적극 추진하겠다'는 응답은 30.8%, '여건이 허용하는 한 추진할 것'이라는 답변은 56.4%로 전체 응답기업의 87.2%가 통일 후 북한사업에 나설 것으로 답했다. 반대 응답은 12.8% 수준이었다.

대북사업을 추진할 의향이 있는 기업이 가장 관심 갖는 지역은 '개성·해주 등 경기도 접경지역(42.3%)이었다. '평양·남포 등 북한 수도권지역'(28%), '신의주·황금평 등 중국 접경지역(11.5%), '원산·금강산 등 강원도 인근 지역(9.2%)이 뒤를 이었다.


희망 사업분야로는 '북한 지하자원 개발'(28.4%), '전기, 도로 등 SOC건설'(22.1%), '생산기지 조성'(22.1%), '대륙연계 물류망 구축'(18.7%), '북한 내수시장 개척'(8.7%)을 들었다. 추진형태는 '직접 시설투자'가 37.1%로 가장 많았고 '위탁가공 의뢰'(28.4%), '단순교역'(25.2%) 순이었다.


통일의 필요성에는 대다수의 기업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지만 통일 진전은 더디다는 답변이 우세했다. 응답 기업 중 93.3%는 통일에 공감한다고 답했다. 경제발전(61.2%)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안보위험 해소(16.5%), 민족 재결합(9.5%)이 뒤를 이었다.


하지만 통일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고 답한 기업중 70.7%는 '제자리걸음'이라고 답했다. 통일로부터 멀어지고 있다는 응답도 18.7%에 달했다. 그 이유로는 '북한의 호응부재'(41.5%)가 가장 많았고 '우리 내부의 반복과 의지부족'(34.7%), '주변 강대국의 견제와 방해'(21.1%)를 꼽는 기업들도 있었다.


통일 진전이 더디면서 기업 중 37.2%는 '북방으로 진출할 기회가 차단'된다고 우려했다. '도발행위로 인한 시장 불안정'(28.7%), '전쟁위험 국가로서 해외거래나 투자유치 차질'(14.4%) 등의 반응도 뒤를 이었다.


경색된 남북관계를 푸는데 기업이 모종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하기도 했다. 북한 방문을 희망하는가라는 질문에 '기회가 되면 가겠다'는 응답이 28.2%, '제안이 오면 긍정적으로 검토해 볼 것'이라는 답변이 33.8%를 차지했다. 다만 '가지 않겠다'는 답변도 38%에 이르렀다. 통일여건 조성과 북한 경제발전을 위해 북한기업의 역량개발에도 '협력하겠다'는 기업이 절반(58.2%)을 넘어섰다.


김병연 서울대 교수 "남북관계가 꽉 막힌 상황에서 아무래도 정부당국 보다 자유로운 민간차원에서 대화와 협력의 실마리를 찾는 것도 의미가 있다"며 "교육과 훈련, 기술이전 등은 북한 경제발전과 남북 상생협력의 실질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필요하므로 적극 시도해 볼만하다"고 말했다.


남북경협이 활성화되는데 중요한 지원과제로는 '민간자율의 교류환경 조성'(28.0%), '기업활동보장·분쟁해결 등 대북투자보호제도 확충'(22.4%), '제2·제3의 개성공단 추진'(21.9%), '북한내 인프라확충' 등을 꼽았다.


2010년 천안함 피격으로 개성공단을 제외한 남북간 경제교류를 전면금지한 5.24 조치에 대해서는 응답기업의 대다수가 '북한과 협의 등 해제논의 나서야 한다'(87.6%)는 입장을 드러냈다.


대한상의는 "우리와 비슷한 시기에 분단된 중국과 대만은 자유왕래가 가능하고 2011년부터는 관세와 무역장벽을 없앴다"며 "반면 남북한은 분단 70년이 다되도록 관계개선에 진전이 없어 안타까운 현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북한의 조선상업회의소가 세계상공회의소 연맹(WCF)에 참여하기도 하는 만큼 우리 경제계가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찾아볼 계획"이라며 "경제협력 중단이 길어질수록 재개할 수 있는 부담과 애로는 커지는 만큼 당국간 대화와 협상은 물론 민간차원의 교류 등 다각적이고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시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