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신격호·동주 父子, 신동빈 회장 대항할 반격카드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신동빈 회장, 韓 롯데 지배회사인 L투자회사 장악
신격호·신동주 부자 칩거 중…장기전 돌입
한일 롯데 지배구조 핵심인 광윤사·L투자회사 지분 안갯속…반격 가능성도


신격호·동주 父子, 신동빈 회장 대항할 반격카드는?
AD

[아시아경제 김소연 기자]신동빈 롯데 회장이 일본 롯데홀딩스에 이어 경영권 분쟁의 열쇠를 쥔 L투자회사 대표이사 자리까지 모조리 차지하면서 신격호·신동주 부자가 어떤 반격카드를 제시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신 회장은 지난 6월30일 L투자회사 10곳(1,2,4,5,7,8,9,10,11,12)의 대표이사로 취임한후 7월31일자로 대표이사 등기를 완료했다. L투자회사는 11곳이 한국 롯데의 지주회사격인 호텔롯데 지분 72.65%를 나눠 보유하고 있다. 사실상 한국 롯데를 지배하는 회사다.

따라서 신 회장이 신격호 총괄회장을 일본 롯데홀딩스 대표이사에서 해임한데 이어 L투자회사 대표이사 자리까지 차지한 것은 한·일 롯데를 모두 장악하기 위한 수순으로 해석되고 있다. 게임이 끝났다는 평가까지 나온다.


그러나 진짜 승패는 일본 롯데홀딩스 주주총회가 열려봐야 안다는 것이 재계 측 관측이다.


신 회장이 일본 롯데홀딩스를 비롯해 L투자회사 대표이사 자리를 꿰찬 상황이지만 주주총회 표대결에서 승부를 가를 지분관계는 여전히 베일에 싸여있기 때문이다.


롯데그룹 지배구조의 정점에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일본 광윤사는 신격호 총괄회장의 개인회사다. 이 회사가 일본 롯데홀딩스 지분을 상당부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 롯데를 지배하는 L투자회사 역시 최근 신동빈 회장이 대표이사에 등재되긴 했지만 신 총괄회장이 여전히 공동 대표지위를 지니고 있다는 점도 변수다. 신 회장이 대표이사 직함을 달기는 했지만 지분율에서 신 총괄회장에게 밀릴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전히 롯데그룹에 대해 상당한 지배력을 가진 신 총괄회장이 장남인 신동주 전 부회장의 손을 들어줄 경우 판세가 뒤바뀔 가능성이 상존하는 것이다. 신 총괄회장이 자신을 상의없이 일본 롯데홀딩스 대표이사에서 해임시켜버린 차남 신동빈 회장에 격노했다는 설이 시간이 갈수록 설득력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막판에 신격호 총괄회장의 부인이자 신동주·동빈 형제의 모친인 시게미쓰 하쓰코 여사가 경영권 분쟁을 중재할 지 여부도 관심사다. 하쓰코 여사는 광윤사 지분을 20% 보유한 것으로 전해진다.




김소연 기자 nicks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