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11호 태풍 '낭카'에 선박 2만5천척 대피·해수욕장 153개소 통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국민안전처, 사전 선제 대응 나서

11호 태풍 '낭카'에 선박 2만5천척 대피·해수욕장 153개소 통제 태풍 11호 낭카. 사진=기상청 홈페이지 캡처
AD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제11호 태풍 '낭카'가 북상함에 따라 정부가 재난취약시설 사전점검, 선박·어선 통제 등 대응 태세에 들어갔다.


17일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낭카는 이날 오전3시 현재 일본 오사카 서남서쪽 약 160km 육상에서 시속 20km 속도로 북북서진중이다. 낭카는 현재 최대풍속 35m/s, 중심기압 970hpa의 소형이지만 강한 태풍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날 오후3시에 독도 동남동쪽 약 260km 해상에 도착한 후 18일 오후3시께 독도 남북동쪽 약 560km 부근 해상으로 빠져나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상청은 이날 오전3시 현재 남해동부먼바다, 동해남부먼바다에는 태풍 경보, 동해중부먼바다엔 태풍 주의보, 부산, 울산, 경북(포항 등 6곳), 경남(거제), 울릉도·독도엔 강풍 주의보를 각각 발령했다. 제주남쪽먼바다, 제주동부앞바다, 남해서부동쪽먼바다, 남해동부앞바다, 동해중부앞바다, 동해남부앞바다엔 풍랑 주의보를 내렸다.


예상강수량은 이날 오전5시부터 자정까지 강원, 경북, 경남, 충북(동부), 울릉도·독도, 북한지역에 5∼10mm 정도다.

낭카의 북상으로 인해 현재 여객선 8개 항로 9척(묵호·포항↔울릉도, 제주↔목포, 여수↔거문도 등), 항공기 국제선 3편(인천→일본) 등이 결항했다.


현재 우리나라는 별 피해가 없지만 일본은 사망 2명”부상 1명, 항공편 150여편 결항, 피난권고(시코쿠 등) 19만4000여명 등의 피해를 입은 상태다.


정부는 이번 태풍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지난 14일부터 중앙재난안전대책 본부를 비상가동하기 시작했고, 공사장·피서지 등 현장 점검과 선박·산시설물 결박·고정 등 안전조치를 취했다. 또 해안가 취약지역(방파제 등) 출입제한 및 비닐하우스·광고물 등을 고정·보강 조치하도록 했고, 울릉도?독도 지역 사전 예찰 활동을 강화했다.


현재 태풍 간접 영향 지역으로 예상되는 울산?부산 등 6개 시·도에서 공무원 238명이 비상근무 중이며, 해당 지역 개장 해수욕장 227개소 중 153개소의 이용을 통제하고 있다.(동해 119개 남해 34개)


울룽도에선 선박·어선 18척을 육지로 끌어 올려 대피시켰고, 인근에서 조업 중인 194척의 어선을 피항하도록 했다. 부산?경북 등 5개 시?도도 선박 2만4264척(육지인양 1304척, 결박 2만2960척)을 태풍에 대비해 대피시켰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