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메르스 사태]수도권 주민들 탈출 시작…'이산가족' 속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40초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글자크기

휴업령 내린 아이들 데리고 타 지역으로..."노약자 등 취약 가정들 수도권 탈출"

[메르스 사태]수도권 주민들 탈출 시작…'이산가족' 속출 지난 8일 오후 남대문시장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메르스 사태 이후 손님들의 발길이 뚝 끊겼다며 상인들은 울상이다.
AD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김재연 기자] #경기도 일산에 사는 직장인 A씨는 지난 6일 부인과 6살배기 아들을 광주광역시 처가댁으로 내려보냈다. 아들이 다니던 유치원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확산 때문에 휴원한 김에 아예 부인과 함께 외갓집에 다녀오라고 했다. A씨는 "아내가 아들과 함께 집에만 있는 것을 힘들어하기도 하지만 평소 호흡기가 약해 감기를 달고 사는 아들 녀석이 메르스에 걸릴까봐 걱정됐다"고 말했다.

수도권의 메르스 확산 공포가 고조되면서 엑소더스(탈출) 행렬이 나타나고 있다. 감염병에 취약한 노약자, 어린이, 호흡기 질환 보유자 등이 있는 가정을 중심으로 '소나기'를 피하자는 심정으로 수도권을 벗어나고 있는 것이다. 서울시·경기도교육청의 휴업 조치로 집에 남게 된 아이들을 돌봄교실에 보내는 대신 여름 휴가를 앞당겨 쓰는 방식으로 가족 전체가 피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메르스 의사 환자의 무차별 접촉 사실이 확인되는 등 서울에서 가장 공포심이 고조된 강남지역의 학부모들은 그 중심에 서 있다. 개포동 주민인 B씨는 지난 7일 부랴부랴 태국행 비행기 티켓을 끊었다. 유치원이 쉬게 돼 집에 있는 6살짜리 아이를 데리고 가 있을 요량에서다. B씨는 "남편도 곧 휴가를 내고 따라 오겠다고 했다. 1주일 정도 지나 진정되면 돌아올 생각인데 어떻게 될지는 두고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 부천에서 직장을 다니는 김모(47)씨도 다음 주에 여름휴가를 앞당겨 쓰기로 했다. 그동안 집안행사를 김씨 집에서 가지며 모친이 고향에서 올라왔지만 이번에는 자신과 가족이 내려가기로 한 것이다. 김씨는 "부천에서도 메르스 확진자가 생겨 부모님이 올라오시는 건 위험할 것 같다"며 "아이들 역시 걱정이 돼 아내와 함께 휴가를 내고 일찍 내려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달 말 출산을 앞둔 수원 망포동 거주 C씨는 5살 먹은 딸과 함께 지난주 시댁이 있는 강원도 삼척으로 내려간 경우다. 수원과 평택 등 인근 지역에서 메르스 환자가 집중 발생하자 불안해서 사실상 '탈출'한 것이다. 시댁에 한동안 머물면서 출산과 산후조리까지 할 작정이다. C씨는 "메르스가 어린아이들한테는 크게 걱정할 일이 아니라는 얘기를 하지만 10대 청소년이 확진판정을 받은 데다 출산을 앞두고 불안한 마음이 크다"고 말했다. 또 "만에 하나라도 감염되면 큰일이라는 생각에 좀 불편하긴 해도 시댁이 차라리 낫겠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다른 수원 주민 D(32·영화동)씨는 4살 아들을 데리고 지난 6일 안동으로 내려가 시댁에서 한동안 머물기로 했다.


온라인 직장인·주부 커뮤니티 등에서도 휴교령으로 인해 휴가를 앞당겨 쓰게 된 사연들이 이어지고 있다. 네이버 아이디 jaju***는 "메르스 때문에 친정이나 형제자매들 있는 다른 지역으로 '피난'을 가고 있다"며 "얼떨결에 휴가가 생겼지만 시간이 나도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가 없다"고 전했다. 다음 아이디 root***도 "아이들이 어린이집을 며칠 쉬게 되면서 급하게 휴가를 쓰게 됐다"고 말했다.


이런 추세에 여행업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하나투어 관계자는 "초기에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해외여행 취소 등의 움직임도 보이면서 파장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며 "소비 심리가 과도하게 위축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휴가를 쓰고 싶어도 쓰지 못하는 워킹맘 등을 위해 전염병 확산 시 유급 휴가를 의무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한정애 의원은 "아무리 많은 근로자가 메르스에 감염되고 격리조치 된다고 해도 기업에서 노동자에게 질병휴가를 줄 의무가 전혀 없다"며 권고 수준을 넘는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김재연 기자 ukebid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이 기사와 함께 보면 좋은 뉴스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