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일본, 엔저 효과로 가구 소득 감소 우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아시아경제 노미란 기자]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양적 완화 정책이 일본 소비자들의 실질 소득을 감소시키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고 6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지적했다.


FT는 엔화 가치 하락은 수출업자들에게 호재로 작용하지만 수입물가 상승이 일본 소비자들의 실질 소득 수준을 낮추고 국내 수요 회복을 지연시킬 것이라고 언급했다.

일본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가격 인상의 대표적인 식품으로 FT는 초콜릿을 예로 들었다. 신흥국에서 초콜릿 인기가 올라감에 따라 원료인 카카오 가격이 상승하면서 메이지, 모리나가제과, 롯데는 7월부터 초콜릿 값을 올리기로 한 바 있다.


롯데는 베스트셀러 초콜릿 제품 8종류의 가격을 10% 올렸고 메이지는 바나나 초콜릿 제품의 가격을 11.9% 올릴 예정이다.

초콜릿 등 식료품 가격뿐만 아니라 유니클로와 같이 캐시미어 등의 원재료를 수입해야 하는 의류 브랜드도 가격 인상을 단행하고 있다.


FT는 원재료 가격 인상이 소비자에게 고스란히 전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메릴린치은행의 스즈키 유마다 외국환전문가는 "일본 기업들이 수입재 가격 상승분을 소비자가격에 반영하고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물가 상승을 억제하겠다는 의지가 없는 분위기가 기업들이 가격 인상을 마음껏 할 수 있도록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크레디트스위스의 히로미치 시라가와 책임이코노미스트는 "일본 기업이 엔화 가치 하락을 가격 인상의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며 "인플레이션 상승은 곧 기업의 이윤 창출로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시장전문가들은 엔화 가치가 하락하는 '속도'가 향후 일본 경제에 미칠 영향의 향방을 가를 것으로 내다봤다.


노무라의 토모 키노시타 이코노미스트는 보고서를 통해 "엔저 현상은 국내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수입 에너지재와 소비재의 가격이 이보다 더 빠른 속도로 오르면 일본 가구의 실질 소득은 눈에 띄게 줄어들 것"이라고 경고했다.




노미란 기자 asiar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