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朴대통령 "무인이동체·엔지니어링, 한계봉착 한국경제 돌파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6초

[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 정부가 소형드론 등 무인이동체와 플랜트 엔지니어링 산업에 전 부처의 역량을 집결해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집중 육성하기로 했다. 무인이동체의 경우 10년내 세계 시장의 10%를, 엔지니어링은 2년 내 3.0%를 점유할 수 있게 중장기적 계획을 마련해 29일 발표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9개 관계부처는 이 같은 내용의 '무인이동체 및 엔지니어링 산업 발전전략'을 마련해 이날 오전 대전 항공우주연구원에서 열린 제22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박 대통령은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무인이동체와 엔지니어링 등 오늘 논의할 두 안건은 한계에 봉착한 우리 주력산업이 다시 도약하기 위한 돌파구가 될 산업들"이라며 정부 차원의 집중 육성 의지를 밝혔다.


박 대통령은 "지금은 기술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속도가 중요하다"며 "좋은 기술개발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더라도 (시장도입) 속도를 늦춰서는 안 된다. (정부는) 민간이 무엇이 아쉬운가 끊임없이 듣고 반영해서 필요한 제도와 인프라를 적극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기술 기업들이 판로개척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공공구매를 하는 정부쪽에서 뒷받침을 해줘야 한다"며 "이 기술은 싹수가 있다, 키워줘야겠다 그런 관점에서 공공구매를 해줌으로써, 실력 있는 기업들이 클 수 있게 하는 것도 정부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발표된 발전전략은 우리나라가 처하고 있는 기간 주력산업 전반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무인이동체 등 새로운 기술발전 추세에 맞춘 전략을 새로 짜야 한다는 차원에서 마련됐다. 매년 20%대 성장이 기대되는 소형드론 시장의 경우, 우리 기업은 가격에서 중국에 밀리고 기술력은 선진국에 미치지 못하는 상태다.


정부는 산학연 역량을 집중해 제품을 개발하고, 이를 공공서비스나 군대 등 초기시장에 투입함으로써 2∼3년 내 선진국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내년 상반기까지 무인이동체 발전 5개년 계획을 수립해 10년내 세계시장 10% 점유, 관련기업 650개 육성, 매출 15조원 달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무인이동체는 소형드론뿐 아니라 자율주행자동차나 무인 농업ㆍ해양장비 등이 포함된다.


엔지니어링 산업 육성은 건설ㆍ토목ㆍ플랜트 등 기존 주력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추진하자는 취지다. 한국 기업들은 시공분야에서 강점을 보유하고 있으나 기획ㆍ개념설계 등 핵심 기술력이 취약해 해외 프로젝트 중 고부가가치 영역은 주로 해외 선진업체가 독점해왔다. 이날 회의에선 엔지니어링 기업들을 위한 기술경쟁력 제고 전략 추진을 통해 2017년까지 세계시장 3.0% 점유, 전문인력 1000명 양성, 전문기업 100개 육성 등 기대효과를 제시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 앞서 박 대통령은 현대자동차가 개발한 자율주행자동차, 항공우주연구원의 수직이착륙 틸트로터 무인기 등 기술개발 및 상용화 성과를 참관하고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