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살아있는 탄저균, 오산기지 배달됐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1초

미군 연구소의 실수…자국내 9개주에도 보내져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미군이 살아있는 탄저균을 주한미군을 포함한 다른 연구기관들로 보내는 사고가 발생했다. 탄저균의 살상력을 감안하면 자칫 큰 사고로 확대될 수도 있던 사건이다.


스티브 워런 미국 국방부 대변인은 27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유타 주의 미군 연구소에서 실수로 살아있는 탄저균 표본을 캘리포니아와 메릴랜드 등 9개 주와 주한미군 오산 공군기지로 보냈다"며 "표본으로 인해 일반인에 대한 위험 요인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표본은 규정에 따라 파기됐다"고 밝혔다.

미국에서는 연구 목적으로 탄저균을 옮길 때 반드시 죽은 상태로 옮겨야 한다. 탄저균에 노출 될 경우 포자에서 생성되는 독소가 혈액 내 면역세포에 손상을 입혀 쇼크를 유발하고 심하면 급성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인구가 밀집한 대도시에 탄저균 100㎏을 살포할 경우 최대 300만명을 살상할 수 있을 정도로 살상력이 높다.


탄저균 취급 사고가 일어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7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소속 연구소에서 탄저균을 옮기다 연구자 60여명이 탄저균 노출 위험에 처하기도 했다.


탄저병을 일으키는 탄저균은 살상력이 커 생물학 테러에서 자주 사용된다. 지난 2001년에는 미국 전역에서 탄저균 편지 테러로 22명이 감염되고 5명이 숨지며 탄저균 공포를 확산 시켰다. 1979년 옛 소련 예카테린부르크 소재 비밀 생물학 무기공장에서는 탄저균 누출로 6주만에 인근 공장 근로자 64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마침 이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인 빌 게이츠는 전염병의 위험성에 대해 경고했다. 그는 온라인매체인 복스(Vox)와의 인터뷰에서 "남은 일생동안 핵전쟁이 발발할 가능성은 지극히 낮지만, 에볼라보다 더한 전염병이 창궐할 가능성은 50% 정도"라며 "핵전쟁보다 전염병 창궐이 더 두렵다"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