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데이터중심요금제 가입자 80만명 돌파…57%가 3만원대(상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아시아경제 강희종 기자, 권용민 기자] 이동통신3사가 내놓은 '데이터 중심 요금제'에 총 80만2662명(지난 23일 기준)이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46만265명(57%)가 3만원대, 22만8236명(28%)가 2만9900원대를 선택했다.


류제명 미래창조과학부 통신이용제도과장은 26일 오전미래부 브리핑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은 내용의 데이터중심요금제 성과를 밝혔다.

데이터 중심 요금제는 음성ㆍ문자는 무제한으로 사용하고, 데이터 제공량을 기준으로 요금을 부과하는 통신요금체계를 뜻한다. 무선 데이터 트래픽이 급증하고 음성통화 비중이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추세를 반영한 것이다. 앞서 KT가 지난 8일 가장 먼저 'LTE 선택 요금제'를 선보인 데 이어 LG유플러스, SK텔레콤이 유사한 상품을 선보였다.


류제명 과장은 "모 이동통신 사업자의 경우 기존에는 LTE 주력 요금제인 5만원대 요금제 가입자가 51%를 차지했지만 현재 5만원대 요금제 비중이 29%로 낮아졌다"며 "소비자들이 저렴한 요금제를 선택하는 성향이 뚜렷해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국내 데이터 중심 요금제가 미국·일본 등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도 차별화됐다고 자신했다. 류 과장은 "미국은 별도로 음성만 가입하지 못하는데다 기본 데이터도 안들어 있다"면서 "음성 무제한 시작점에서 데이터 300MB를 주는 것은 우리나라만의 차별점"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2대 통신사인 AT&T나 버라이즌도 300MB를 사용하려면 20달러를 추가로 내고 구매야하고, 일본 통신사 NTT도코모의 경우에도 기본 데이터 없이 2GB를 사용해야만 한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데이터 중심 요금제는 음성통화 무제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최소 요금제 구간이 5만원대 초반에서 2만원 후반으로 낮아졌다는 점에서 영업사원, 대리기사, 택배 기사 등 음성통화량이 많았던 이용자들에게 매우 유용하다.


반면 이 기준으로 따지면 기본 데이터 제공량은 5GB(기가바이트)에서 300MB(메가바이트)로 대폭 줄어들기 때문에 음성통화 비중이 많은 이용자라 할 지라도 자신이 매월 어느 정도 데이터를 써 왔는 지 따져 봐야 한다.


업계 관계자는 "출시초기에 데이터 중심 요금제들이 폭발적인 호응을 얻고있다"면서 "데이터중심요금제 가입자가 이달 중 100만 명을 넘을 것이라는 소리도 업계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류제명 과장은 "데이터 중심 요금제에 적용했던 순액 요금 구조를 앞으로 나오는 요금제는 물론 개정되는 요금제에도 적용해 약정 구조를 점차 없애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요금제에 비례하는 지원금의 기준을 명목 기준에서 순액 구조로 전환할 수 있도록 고시 개정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권용민 기자 festy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