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전남도, 호두 신소득 전략품목으로 산업화 나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전남도, 호두 신소득 전략품목으로 산업화 나서 호두
AD


" ‘숲 속의 전남’만들기 일환…산업화 기반 마련 위해 22일 재배 관리 설명회"

[아시아경제 노해섭 ]전라남도(도지사 이낙연)는 브랜드 시책인 ‘숲속의 전남’만들기 일환으로 ‘돈이 되는 숲’조성을 통한 지역민 소득 창출과 임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호두를 신소득 전략품목으로 정해 산업화에 나설 계획이라고 21일 밝혔다.


산업화 추진과 호두 재배 붐 조성을 위해 22일 담양 도립대학교에서 호두나무 재배·관리기술 설명회를 도내 호두나무 재배자와 재배를 희망하는 귀농·귀촌인, 임업후계자, 산림조합 및 관련 공무원 등 15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국립산림과학원에서 30여 년간 호두를 연구한 국내 최고의 전문가인 한국임업진흥원의 황석인 박사와, 충남 부여에서 30년간 호두를 재배하고 있는 정찬흥 부여 대흥농장 대표가 강사로 나선다.


기후대·토양 조건 등 호두 재배 적지 선정 방법, 식재·전정·시비 등 재배 관리 방법, 병충해 예방 및 방제법, 가공·유통사례와 호두 재배 성공사례 및 노하우 등을 소개한다.


호두나무는 초기 결실까지 7~9년의 장기간이 소요되나, 수확은 70년부터 100년 이상까지 가능해 후대까지 물려주며 소득을 얻을 수 있는 자원이다.

전남도, 호두 신소득 전략품목으로 산업화 나서 호두


호두는 국내산이 생산지 기준으로 kg당 2만 5천 원에 거래되고 있고 평균 ha당 1천 100만 원의 소득을 얻는 대표적인 고소득 품목이다.


특히 노화방지, 성인병 예방, 두뇌발달 등에 좋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소비층의 저변 확대로 소비량은 매년 늘고 있으나, 자급률은 1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국내 연간 소비량은 1만 3천 88톤이지만 생산량은 1천 282톤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전라남도는 호두를 산업화해 임업인들의 소득 증대와 함께 지역 임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꾀할 계획이다. 호두나무 재배 면적을 확대하기 위해 호두 묘목, 식재비 등 재배단지 조성을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윤병선 전라남도 산림산업과장은 “앞으로 호두 산업화를 위해 행정·재정적 지원은 물론 설명회와 컨설팅을 통해 시행착오를 최소화해나가겠다”며 “호두나무 재배에 지역 임업인과 귀농·귀촌인 등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노해섭 기자nogary@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