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폰으로 집 문 잠그고 가스밸브 확인" 올해 본격 시작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1초

SKT, 아이레보·위닉스 등 20개여사와 제휴 '스마트홈' 출시


"폰으로 집 문 잠그고 가스밸브 확인" 올해 본격 시작 SK텔레콤은 20일 을지로 본사에서 스마트홈 서비스 출시 행사를 열고 스마트홈 기기 관련 협력사들과 함께 자체 개발한 스마트홈 플랫폼을 탑재한 다양한 홈기기들과 새로운 스마트홈 서비스 브랜드를 공개했다. 모델들이 SK텔레콤 스마트홈 서비스와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사진:SK텔레콤>
AD

[아시아경제 강희종 기자]이제 외출중에 현관문이나 가스밸브를 잠갔는지 불안에 떨지 않아도 된다. 더운 여름 집에 들어가 집안을 식힌다고 한참 동안 에어컨을 켜놓지 않아도 된다.


SK텔레콤은 20일 서울 을지로 본사 빌딩에서 시연행사를 갖고 위닉스, 아이레보, 경동나비엔, 타임밸브 등 20여개 업체와 협력해 '스마트 홈 라이프'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의 스마트홈 서비스는 자체 개발한 개방형 사물인터넷(IoT) 플랫폼인 모비우스를 기반으로 개발됐다. SK텔레콤은 1차로 스마트홈 서비스가 적용된 아이레보의 도어락, 위닉스 제습기, 경동나비엔 보일러, 타임밸브 가스밸브 차단기를 내놓을 계획이다.


3분기에는 에어컨(캐리어), 보일러(린나이·대성셀틱·알토엔대우), 공기청정기(위니아, 위닉스, 동양매직), 조명기기(금호전기·GE라이팅), 스마트콘센트(DS텍·파워보이스), 스마트스위치(반디통신) 등 10여개 이상의 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4분기에는 레인지후드(하츠), 정수기(교원웰스), 에어큐브, 보안 연계 서비스 등이 추가된다.


◆20여개사와 제휴…SKT, "초기 구매 고객은 무료 사용"=SK텔레콤의 '스마트홈 라이프'는 스마트폰 앱으로 구현된다. 앱을 통해 스마트홈 기기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상황에 맞도록 기기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출모드에서는 도어락과 가스밸브의 잠김을 확인하고, 제습기 및 보일러는 에너지 절약모드로, 조명은 자동으로 꺼진다. 퇴근 길 집에 가까워지면 스마트폰 앱이 이를 감지해 귀가모드 실행 여부를 먼저 묻고, 이를 승인하면 보일러 또는 에어컨과 제습기만 적정 온습도까지 미리 가동시켜 쾌적한 실내 환경을 만들 수 있다.


SK텔레콤의 스마트홈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와이파이 무선공유기, 스마트홈 로고가 부착된 홈기기 등 3가지만 있으면 된다. 도어락, 가스밸브차단기 등 일부 배터리 사용 기기는 Z-Wave 브리지가 추가로 필요하다.

"폰으로 집 문 잠그고 가스밸브 확인" 올해 본격 시작 SK텔레콤 스마트홈 구조도


SK텔레콤은 이통사나 인터넷제공회사에 상관없이 누구나 자사의 '스마트 홈 라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인테리어 업계와 함께 보급형 스마트홈 인테리어 패키지를 개발하고, SK브로드밴드와 스마트홈 공동 프로모션 전개를 계획 중"이라며 "SK E&S계열 도시가스사들과는 스마트홈 플랫폼을 활용한 다양한 시범사업을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SK텔레콤은 개발 노하우를 반영한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래밍인터페이스(API)를 연내 공개해 더 많은 제휴사를 끌어들인다는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스마트홈 서비스 이용 활성화를 위해 초기에는 제조사와의 공동 이벤트를 통해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향후 서비스 진화 및 적용 제품 확대에 따라 기본 서비스 이용료를 책정할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는 게이트맨 브랜드로 유명한 아사아블로이(Assa Abloy·아이레보 모회사) 그룹의 에드가 친(Edgar Chin) 북아시아 총괄사장을 비롯해, 윤철민 위닉스 사장, 박혜린 옴니시스템 회장, 원종호 경동나비엔 본부장, 김해성 타임밸브 대표, 윤용 MCT 사장 등 제휴사 대표들이 직접 참가했다.


SK텔레콤의 조영훈 스마트홈 TF장은 "여러 제휴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국내 환경에 맞는 풍부한 홈기기 라인업들과 다양한 서비스 상품을 갖추게 돼 우리나라 고객들에게 최적화된 스마트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향후 더 많은 협력 업체들과 공동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홈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나갈 계획"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