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文 "패배 고통보다 아픈게 분열…주승용 빈자리 크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7초

"'친노 수장'이란 말 완전히 없어질때까지 노력"
"최고위원 모두발언 개인적인 발언 아니다" 경고
주승용·정청래 불참…"최고위 참석은 권리 아닌 의무"


文 "패배 고통보다 아픈게 분열…주승용 빈자리 크다"
AD

[아시아경제 이민찬 기자, 홍유라 기자]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11일 "패배의 고통보다 더 아픈게 당내 분열과 갈등으로 국민들께 더 큰 실망을 안겨드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표는 이날 국회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서 "친노 패권주의라는 분열, 그 프레임을 넘어서지 못하면 우리에게 희망이 없다고 생각한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이어 "사심없는 공정한 당 운영으로 기필코 그 프레임에서 벗어나야 겠단 결심 한 것도 그런 이유"라면서 "전당대회 이후 그런 노력들이 성과 거두는 듯 했으나 재보선 패배로 원점으로 되돌아 간 것이 현실"이라고 진단했다.


문 대표는 "하지만 실망하거나 좌절하지 않고 더 노력하겠다"면서 "'문재인은 친노 수장이다'라는 말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노력을 멈추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재보선에서 국민들은 저와 당 변화 부족하다고 질책했다"며 "더 이상 기득권에 안주해서는 정권 교체의 희망도 미래도 없다는 국민의 뜻 받들어 더 과감하게 혁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표는 지난 8일 최고위원회의서 정청래 최고위원의 '공갈 사퇴' 발언으로 인한 주승용 최고위원은 퇴장, 유승희 최고위원의 노래 등 최근 논란에 대해 사과했다. 그는 "국민에게 신뢰와 희망을 드리지 못한다면 우리가 무슨 자격으로 (정부·여당을) 비판할 수 있겠나"라면서 "우리 스스로 부끄럽게 여기면서 새로운 모습으로 거듭나는 계기로 삼겠다"고 말했다.


문 대표는 그러면서 "최고위원회의 모두 발언은 개인적인 발언이 아니다"라면서 "당을 대표해 국민들께 드리는 발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더 공감받을 수 있는 언어와 정제된 톤으로 발언해 줄 것을 각별히 당부한다"고 덧붙였다. 야당 내부를 향한 정제되지 않은 발언과 행동으로 논란을 자초한 최고위원들을 향한 경고로 해석된다. 논란의 당사자인 주승용·정청래 최고위원은 이날 참석하지 않았다.


문 대표는 또 사퇴 의사를 밝힌 주승용 최고위원의 복귀를 촉구했다. 문 대표는 "최고위원이 최고위원회의 참석하고 역할 다 하는 건 권리가 아니라 의무"라면서 "최고위원직에 출마하고 당선됐을 때, 그 의무를 약속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주승용 최고위원은 호남을 대표하고 대변하는 대단히 중요한 역할 하고 있다"며 "오늘도 주승용 최고위원이 참석하지 않은 빈자리 매우 크다"고 덧붙였다.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
홍유라 기자 vand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