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세월호 1주기 지났지만…갈등 해결 실마리 안 보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1초

'세월호 1주기' 서울광장서 5만명 추모행사…시행령안 폐기·선체인양 등 갈 길 멀어

세월호 1주기 지났지만…갈등 해결 실마리 안 보여
AD


[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원다라 기자, 정현진 기자] "천사가 된 아이들아, 너희들을 잊지 않을게. 못 다 이룬 꿈 언니, 오빠, 동생들이 이루기 위해 뭐든지 열심히 할게."

세월호 1주기를 맞아 16일 전국 각지에서 대규모 추모제가 열렸다. 대체로 평화롭게 추모 열기가 이어졌지만, 자정이 넘어 광화문에서 경찰과 시위대가 충돌해 캡사이신 최루액이 발사되는 등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한편 특별법 시행령ㆍ선체인양ㆍ진상규명ㆍ보상 등 1년이 넘도록 해결되지 않은 세월호 관련 갈등은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4ㆍ16 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4ㆍ16 가족협의회), 4ㆍ16연대 등은 이날 오후 7시 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주최 측 추산 5만명(경찰 추산 9000명)이 참여한 '4ㆍ16 약속의 밤' 추모문화제를 개최했다.

문화제에는 안산 정부합동분향소에서 출발한 세월호 유가족들과 낮부터 각지에서 집회ㆍ문화제를 이어온 시민ㆍ학생단체 등이 대거 참석했다. 정치권에서도 우원식ㆍ정청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박원순 서울시장 등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전명선 4ㆍ16 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진상규명을 제대로 해서 안전한 사회를 만들자는 것과 온전하게 세월호를 인양해 실종자를 끝까지 찾아주겠다는 대답을 기다렸지만 끝내 답변을 듣지 못했다"면서 "대통령은 우리 가족들을 피해 팽목항에 잠시 머물렀다 대국민 담화문 발표만 하고 해외로 떠났다"고 비판했다.


행사에는 안치환과 자유, 이승환 밴드, 노래패 우리나라 등이 무대에 올라 고인들을 기리고 유가족들을 위로했다. 시인 진은영과 유용주의 시 낭송도 이어졌다.


같은 시간 세월호 희생자 분향소가 설치된 광화문 광장에는 분향행렬이 이어졌다. 이곳에서는 그간 꾸준히 추모행사에 참여했다는 사람보다 '처음 찾는다'는 시민들을 주로 목격할 수 있었다.


대학생 이경은(22ㆍ여)씨는 "세월호 추모 행사에 온 건 오늘이 처음"이라며 "이번 행사에 오기 전까지는 세월호 유가족들에게 좀 의심하는 마음을 가졌던 것도 사실이지만, 막상 와 보니 많은 시민들이 함께 슬퍼하는 모습을 보니 그런 마음이 사라졌다"고 말했다.


추모제를 마친 시민들은 광화문에 마련된 분향소로 이동하기 위해 행진을 시작했다. 그러나 경찰이 경찰버스로 차벽을 치면서 충돌이 빚어졌다. 일부 시민들은 청계천으로 우회해 종로 2가 사거리를 점거했지만, 경찰은 11시께 캡사이신 최루액을 분사하는 등 강력하게 대응했다. 이 과정에서 3명의 참가자가 종로경찰서로 연행됐다.


이처럼 세월호 1주기가 지났지만 갈등의 실마리는 좀처럼 풀릴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우선 유가족들이 요구하고 있는 '세월호 선체 인양'도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12시께 전라남도 진도군 팽목항을 방문한 자리에서 대국민담화를 통해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선체 인양에 나서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아직도 걸림돌은 남아 있다. 주무부처인 박인용 국민안전처 장관은 최근 "세월호 인양에 대한 국민의 여망이 강해 가능한 조속히 결정해야 하지만, 사실을 제대로 알리지 않은 채 인양했다 실패하면 국민과 실종자 가족이 실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유경근 4ㆍ16 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 역시 "박 대통령이 오늘 선체 인양 최선 노력 다하겠다고 얘기했지만 이는 지난 1년간 수천 번도 더 듣던 말"이라고 지적했다.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의 진상규명 활동과 관련한 '특별법 시행령안'도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유가족들은 시행령안이 특조위의 조직ㆍ기구를 축소시키고 조사권한을 공무원들이 맡게 되는 등 실질적으로 진상규명을 방해한다며 폐기를 요구하고 있다. 정치권은 "논의해보겠다"면서도 현재까지 별다른 움직임이 없다. 특조위는 여전히 출범도 하지 못한 채 공회전하고 있는 상태다.


한편 주말인 18일 서울광장에서는 유족 및 시민사회단체가 주최하는 '세월호참사 1주기 범국민대회'가 열린다. 이날 범국민대회는 유가족과 시민단체는 물론, 최근 총파업을 선언하고 나선 노동계까지 대거 참석하는 대규모 집회가 될 전망이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원다라 기자 supermoon@asiae.co.kr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