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정준영 기자] 한국기업지배구조원(CGS)은 현대차그룹의 주가부진이 이사회의 무기력 등 지배구조 문제에서 비롯됐다고 진단했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현대차 주가는 올 들어 3.55% 올랐지만 지난해 한전 부지 매입 이후 여전히 19.72% 하락한 상태다. 현대모비스 역시 올 들어 5.93% 주가가 상승했지만 한전 부지 매입 시점 대비 10.39% 빠진 상태다. 22.03% 하락한 기아차의 경우 연초 대비로도 12.04% 하락해 낙폭을 만회하지 못하고 있다.
한전부지 매입에 참여한 현대차그룹 3사 컨소시엄이 시총 급락과 외국인 투자자 대거 이탈 여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모양새다. 송민경 CGS 연구위원은 “최대주주의 독단적 의사결정과 이를 견제하지 못하는 이사회의 무능 등 지배구조 상 한계에 대한 시장과 주주의 실망을 반영한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라고 짚었다.
CGS가 한전부지 매입 결정을 두고 현대차·기아차·현대모비스 등 현대차그룹 3사의 지배구조를 분석한 결과 현대차 이사회는 재무 분야 전문성이 취약한 것으로 지적됐다. 5명의 사외이사 가운데 국세청 출신인 강일형 세무법인 다은 대표가 재무 부문을 맡고 있지만 일반적 견지에서 재무전문가로 간주하기는 어렵다는 평가다.
송 연구위원은 “해외 경쟁사와 달리 현대차는 재무 전문가인 사외이사가 없어 대규모 부동산 투자 이슈를 전문적으로 분석·검토하고 책임 있는 의사 결정을 내릴 만한 조직적 역량을 보유했다고 보기엔 미흡하다”고 꼬집었다.
경쟁사 대비 과소한 이사회 조직이 경영진을 충실히 감시·견제할 조직 역량을 갖췄는지 심각한 의문을 부른다는 지적도 뒤따랐다. CGS에 따르면 미국 포드사는 17명의 이사회 구성원 가운데 재무·투자 전문가가 3명, GM 역시 14명의 구성원 중 2명의 전문가를 두고 있다. 양사는 재무관련 정책 전략·실행 등을 점검하는 이사회 내 위원회로 각각 7명으로 구성된 재무위원회도 두고 있다. 현대차는 재무위원회를 두고 있지 않다.
이사보수 체계 역시 경영성과나 주주가치 경영과는 동떨어져 있다는 지적이다. 최근 2년 현대차가 정몽구·정의선 부자에게 지급한 보수는 100% 정액급여로 성과와 전혀 연계되어 있지 않다. 해외 경쟁사의 경우 CEO의 총보수 대비 기본급 비중은 독일 다임러 24.4%, 독일 폭스바겐 13.2%, 미국 포드 8.6% 수준이다.
송 연구위원은 “정 회장의 보유 주식은 1100만주(지분율 5.17%), 정 부회장은 298주(0.00%)로 직접 보유 지분율이 낮아 주주가치 지향 경영 유인 효과도 기대하기 어렵다”면서 “보수체계가 성과급 및 총주주수익률에 비례토록 설계됐더라면 위험한 부동산 투자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취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기아차의 경우 2008년 정 회장이 등기임원에서 물러난 이후 정상적인 지휘·통제 체계를 왜곡하고 투명성·책임성 측면에서 심각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고 지적됐다. 송 연구위원은 “부실경영이나 문제있는 의사결정의 책임이 그룹 총수일가에 있더라도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하면 주주가 이를 추궁할 수단이 미비하고, 보수 수준·체계를 파악하기조차 어렵다”면서 “이는 주주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사익을 추구할 가능성을 키운다”고 설명했다.
CGS는 이해상충 소지를 끌어안은 사외이사가 한전 부지 인수 관련 이사회 결의에 참여한 것 역시 이사회 결의의 정당성이나 내부통제 적정성 등에 관한 주주 우려를 증폭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기아차 사외이사에는 공정거래위원회 출신인 김원준 김앤장 법률사무소 고문이 포함돼 있다. 송 연구위원은 “김앤장이 한전 부지 인수 관련 법률자문을 맡은 것으로 알려진 만큼 자문계약 성립이나 수수료 규모 등을 고려할 때 이해상충 여지를 부인하기 어렵다”면서 “이를 해소하기 어렵다면 한전부지 인수 관련 이사회 결의에 참여하지 않는 편이 주주 신뢰도 제고 측면에서 바람직했다”고 지적했다.
현대모비스도 이사회의 재무 분야 전문성이 부족하고 현대차와 마찬가지로 이사보수 체계가 성과나 주주가치 경영과 동떨어져 있다는 지적이다.
CGS는 현대차그룹이 올해 주총 역시 상기한 문제들을 그대로 이어가면서도 ‘거버넌스위원회’ 설치에 대해 적극적인 검토와 이사회 규정 반영에 노력할 의사를 밝힌 점은 특기할 만하다고 꼽았다. 송 연구위원은 “주주총회의 의의와 역할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사례”라면서 “향후 핵심과제는 책임 있는 약속 이행으로 생산적 성과를 끌어내 주주와 시장 신뢰를 회복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정준영 기자 foxfur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