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현장에서]프랜차이즈박람회 씁쓸한 흥행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현장에서]프랜차이즈박람회 씁쓸한 흥행
AD

[아시아경제 조태진 기자]지난 21일 서울 대치동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SETEC)에서 막을 내린 '제33회 프랜차이즈산업박람회'. 전시관을 둘러보는 관람객 가운데 프랜차이즈 가맹점 창업을 고민하기에 아직 일러 보이는 젊은 남녀들이 심심찮게 눈에 들어왔다.


사상 최악의 취업난이 한창 입사 준비에 열을 올려야할 이들을 '창업 전선'으로 내몬 것이다. 도대체 안정적인 수입원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이 안보이니 젊었을 때 '오너 커리어'를 쌓는 것이 낫겠다는 판단이 반영된 것이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만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은 2012년 말 7.5%, 2013년 말 8.5%를 기록하더니 올해 1월에는 9.2%로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정규직 취업을 원하는 아르바이트생, 졸업을 미루는 이른바 '대학 5학년' 등을 포함할 경우 실업률이 15%에 육박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프랜차이즈산업박람회장에서 만난 서 모씨(28)는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에 이르기까지 40여곳에 지원해 봤지만 면접에 나선 경우를 꼽아봐도 다섯 차례에 불과하다"며 "5000만원 정도로 외식업종 가게를 꾸릴 수 있는 아이템을 찾기 위해 들러봤다"고 말했다.

이들은 대부분 스몰비어, 치킨 등 육류, 분식류 등 기술 진입장벽이 낮고 적은 자본으로 가게를 꾸릴 수 있는 외식업 부스에서 발길을 멈췄다. 이들 가운데는 가맹점보다는 법인 등록을 통해 자체 사업을 꾸리겠다며 도전을 불태우는 이도 적지 않았다.


한솔외식창업아카데미 관계자는 "미국 등 선진국 뿐만 아니라 CIS권, 중동, 동남아 등 개발도상국에서의 총판 사업 등 관련해 상담을 의뢰하는 경우가 더러 있었다"며 "정부에서도 해외 창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는 방침이어서 젊은층을 중심으로 이 같은 분위기는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들의 미래가 장밋빛으로 전개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아보였다. 먹거리 프랜차이즈는 레드 오션에 가까워진 상태고, 행사장에 나온 브랜드 대부분은 기존 성공 브랜드의 아류작으로 '될성 싶은 떡잎'을 찾아내는 것은 쉽지 않아 보였다. 사상 최악의 취업난이 자칫 무더기 창업 실패로 이어질 지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조태진 기자 tj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