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C";$title="경기도청";$txt="경기도청";$size="550,366,0";$no="2015031816455556334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아시아경제(수원)=이영규 기자] 경기도가 서민 가계부담과 반대에도 불구하고, 도내 3300여대 광역버스 요금 인상을 '강력' 추진하고 나선 이유는 뭘까.
표면적으로 보면 3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광역버스 요금인상을 해주지 않을 경우 도내 버스업체들이 '감차'(운행차량을 줄임)에 나설 수 밖에 없다는 원론적 고민이 있다.
박상열 경기도 교통국장은 18일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광역버스 요금 관련 백브리핑에서 "현재 광역버스의 '수지율'은 80%로 버스 업체들 중 가장 어려운 상황"이라며 "임금인상을 해주지 않을 경우 버스업체들이 손실을 더 이상 감내하지 못하고 감차를 단행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럴 경우 지난해 7월 이후 시행된 '광역버스 좌석제'(입석금지제) 역시 과거로 회귀에 현재 8000여명으로 줄어든 입석 인원이 다시 1만4000여명까지 늘어날 것이란 게 경기도의 걱정이다.
박 국장은 또 "임금인상을 해주지 않아 버스업체들의 적자가 누적될 경우 이들 업체들이 손실보전을 경기도에 요구 할 수 밖에 없다"며 "도 입장에서는 수익자부담원칙에 따라 요금인상을 추진하게 됐다"고 해명했다.
그는 아울러 "지난해 9월 버스업체 경영진과 근로자간 임금협상에서 올해 요금이 오를 것을 전제로 평균 10만4000원의 임금 인상안에 합의해 일부 업체는 벌써 시행하고 있고, 일부 업체는 올려주기로 합의한 상태"라며 "이런 상황에서 임금인상이 이뤄지지 않으면 노사합의 결렬과 이에 따른 파업으로 인한 버스운행 차질이 빚어져 결국 도민들만 피해를 입게 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같은 경기도의 버스요금 인상에 대해 '옹색한' 변명이란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는 경기도가 버스요금 인상 요인으로 생각하는 ▲버스회사 감차 강행 ▲적자누적에 따른 도 보전 요구 ▲버스회사 노사협력 결렬에 따른 버스운행 차질 등이 버스요금 인상을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아니라는 지적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남경필 경기지사가 지난해 도지사 부임 후 내놓은 '굿모닝버스' 공약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굿모닝버스는 말 그대로 도민들이 서울로 출·퇴근 시 편하게 앉아갈 수 있는 버스정책을 마련하는 게 핵심이다.
하지만 최근 버스업체들의 경영난이 가중되고, 이로 인해 감차가 진행되면 입석이 다시 늘어나게 되고, 이는 남 지사의 굿모닝버스 약속을 퇴색시킬 수 밖에 없어 임금인상에 나선 게 아니냐는 분석이다.
한편, 경기도는 이르면 3월말부터 일반좌석버스와 직행좌석버스 3300여대의 요금을 400원에서 500원 올리는 방안을 추진한다. 도의회 의견청취를 끝냈으며 남경필 지사의 결정만 남겨둔 상태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