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거래소, 'KOSPI 200 내재가치지수' 16일 발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변동성 높은 종목 제외, 내재가치 반영…약세장서 손실 방어, 강세장선 초과수익
대형 장기투자자의 주식시장 참여와 가치투자 활성화 기여 전망

거래소, 'KOSPI 200 내재가치지수' 16일 발표 '코스피200'과 '코스피200 내재가치지수' 비교(자료 한국거래소)
AD


[아시아경제 박미주 기자]한국거래소가 '코스피(KOSPI) 200 내재가치지수'를 오는 16일부터 발표한다고 11일 밝혔다.

KOSPI 200 내재가치지수는 KOSPI 200 구성종목 중 변동성이 높은 일부 종목을 제외하고, 기업의 내재가치를 추정해 내재가치에 따라 지수비중을 반영한 지수다. 시가총액식으로 산출하는 기존의 KOSPI 200과 달리 내재가치가 큰 종목의 지수반영비중이 높게 설계한다.


이 지수는 거래소가 스탠다드앤드푸어스 다우존스 인다이시즈(S&P DJI)와 공동으로 S&P DJI의 최신 방법론을 채택해 개발한 KOSPI 200 계열 최초의 펀더멘털형 전략지수다. 국내 현실에 맞게 수정 개발했다.

종목은 KOSPI 200 종목 중 베타(시장 대비 개별종목의 주가 민감도) 기준으로 변동성이 높은 상위 30%(시가총액기준)를 제외해 구성한다.


지수는 현재의 장부가치와 미래성장가치를 합산한 내재가치를 추정해 내재가치비중으로 지수를 산출한다.


거래소 관계자는 "변동성이 높은 종목을 지수에서 제외해 약세장에서는 효과적인 손실 방어가 가능하고, 기업의 본질적 내재가치를 반영해 강세장에서는 높은 초과수익 실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KOSPI 200 대비 장기 안정적 초과수익 획득을 목표로 하는 연기금·보험 등 장기성 기금, 상장지수펀드(ETF)와 가치주 펀드의 벤치마크 등으로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예상했다. 거래소 관계자는 "해외의 경우 일본 후생연금(Government Pension Investment Fund)도 내재가치지수(GIVI)를 벤치마크해 자산 약 4조5000억원을 운용 중"이라며 "국내 자산운용사에서도 상반기 중 내재가치지수에 대한 ETF 상장에 관심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또 "KOSPI 200 내재가치지수는 거래소가 글로벌 기준에 의한 기업가치평가를 반영해 지수화한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연기금 등 대형 장기투자자의 주식시장 참여와 가치투자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거래소는 S&P DJI 등 해외기관과 협업해 전략형 지수의 라인업을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베타·내재가치 등 기초정보 산정은 민간사업자에게 위탁하고, 거래소는 종목심사와 지수산출을 담당하는 방식으로 역할을 분담할 계획이다.




박미주 기자 beyon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